TECH M
TECH M
탄소나노소재를 밀가루 반죽 방식으로 잉크나 페이스트로 바꿔…국내 연구진 탄소나노소재 실용화 앞당겨
차세대 전극재료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나노소재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탄소소재 가루를 잉크나 페이스트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팀이 기능화와 용매 분산 과정에서 탄소나노소재 손상을 최소화하고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밀가루 반죽 방식을 모방했다. 밀가루에 물과 첨가물을 섞어 반죽하면 숙성되는 것처럼 탄소나노소재 분말에 소량 강산과 첨가제를 넣고 반죽한 뒤 상온에 일정 시간 보관하면 탄소나노소재가 기능화 됐다.
이로써 탄소나노소재를 분산제 없이 잉크나 페이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기존에도 탄소나노소재에 강산과 산화제를 첨가하는 방식이 있었지만 소재에 심한 손상을 줘 전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기능화가 완료된 탄소나노소재는 물이나 알코올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매에서 흩어지게 하기 쉽다. 즉 잉크나 페이스트로 쉽게 만들 수 있다.
반죽을 활용한 탄소나노소재 기능화 방식 개발로 앞으로 배터리용 소재부터 수소생산과 연료전지, 전도성 섬유, 바이오센서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나노소재 활용 가능성이 높아졌다.
연구책임자인 한중탁 박사는 “새로운 개념으로 기능화해 탄소나노소재를 용액상태로 쉽게 만들고 전도성을 살리면서 원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기존 응용기술에 대한 한계를 뛰어넘는 신개념 원천 기술”이라며 “탄소나노소재를 이용한 배터리전극, 수소연료전지전극, 유연투명전극 뿐만 아니라 전도성 첨가제로 활용하는 기업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현 테크M 인턴기자 jihyunsports@techm.kr
-
애플-SAP, 파트너십 확대…“애플 제품에서 SAP 솔루션 활용 가능”세계 최대 전자업체 중 하나인 애플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선도기업 SAP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앞으로 애플 아이폰, 아이패드, 맥(MAC)에서 SAP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SAP는 미국 플로리다에서 개최하는 IT 컨퍼런스 ‘사파이어 나우’에서 자사제품 코어 ML을 애플의 iOS용 SAP 클라우드 플랫폼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로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코어 ML은 애플 기기에서 구동할 수 있는(on-device) 머신러닝 기술로, 이달 말부터 고객사에2019-05-08 14:53:14김태환 기자
-
삼성SDS, “독자 프레임워크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지원”삼성SDS가 기업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지원하려고 독자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 엔터프라이즈와 팩토리(제조현장), 블록체인, 클라우드, 보안을 중심으로 프론트오피스(고객 대면 부서)에서부터 백오피스(고객 비대면 부서), 팩토리(제조 현장)까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8일 삼성SDS는 서울 중구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디지털 전환 관련 컨퍼런스인 ‘리얼2019’를 개최하고, 기업 대상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지원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이 자리에서 홍원표2019-05-08 13:48:02김태환 기자
-
카카오, 'AI 랩' 사내 독립 기업으로 출범…"B2B 본격 진출"카카오가 신규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B2B 사업에 본격 진출하기로 결정했다.B2B 사업을 다각화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Al 랩(Lab)을 오는 15일 사내 독립 기업(CIC)으로 출범시킨다는 계획이다. 대표는 백상엽 전 LG CNS 미래전략사업부장 사장이 내정됐다.카카오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 체계를 확립해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Al Lab을 사내 독립기업인 CIC로 설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AI Lab은 인공지능(AI), 검색 등 카카오의 핵심 기술이 결집돼 있는2019-05-08 13:45:25박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