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택시동승앱과 합승서비스 보류...오토바이 광고와 VR시뮬레이터 채택
택시동승 앱과 대형택시 합승서비스 실증특례에 관한 결론이 미뤄졌다. 위원회는 한 달 뒤에 다시 논의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서울중앙우체국에서 ‘제3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열고 안건 5건을 검토했다.
이날 상정된 안건은 △앱 기반 자발적 택시동승 중개 서비스(실증특례) △대형택시와 6~10인승 렌터카를 이용한 공항‧광역 합승 서비스(실증특례) △디지털 배달통을 활용한 오토바이 광고 서비스(실증특례) △가상현실(VR) 모션 시뮬레이터(임시허가·실증특례) △통신사 무인기지국 원격전원관리시스템(임시허가)다.
이 중 택시동승 중개 서비스와 대형택시 합승서비스 실증특례는 다음으로 미뤄졌다.
배달통을 활용한 오토바이 광고 서비스와 VR 모션 시뮬레이터는 실증특례를 받았다. 원격전원관리시스템도 임기허가를 받았다.
실증특례는 제품·서비스를 시험·검증하는 동안 규제를 면제받는다. 지난 1월 17일 규제 샌드박스 제도 시행으로 도입됐다.
이날 코나투스는 이동 경로가 유사한 승객 2명을 이어주고 요금을 절반씩 내도록 하는 중개 앱에 대해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하지만 심의위원회는 “앞으로 관계부처 간 추가 검토를 거쳐 심의위원회에 다시 상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벅시와 타고솔루션즈는 이날 6~13인승 대형택시와 6~10인승 렌터카로 합승 운행을 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실증특례를 신청했다. 하지만 합승 이슈를 이유로 통과되지 못했다.
다만 위원회는 “법인고객을 대상으로 자유요금제를 허용하고, 11~15인승 렌터카에 대해서만 주사무소나 영업소를 벗어난 장소에서 15일을 초과해 상시 주자 또는 영업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택시 합승 이슈와 6~10인승 렌터카에 관한 친환경차 허용 여부에 대해서는 관계부처에서 추가로 검토해 다시 상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지난 2차 심의위에서도 논의됐던 뉴코애드윈드의 ‘디지털 배달통을 활용한 오토바이 광고 서비스’는 이날 실증특례를 받았다. 배달용 오토바이 배달상자 외부면에 디지털 패널을 설치해 배달상품을 광고하는 서비스다. 다만 광주와 전남 지역에서 오토바이 100대 이내에 우선 적용하라는 조건이 붙었다. 또 다른 운전자 시야 확보를 고려해 배달통 뒷면에는 오토바이가 정지하고 있을 때만 광고송출을 허용했다.
모션디바이스도 VR(가상현실) 콘텐츠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VR 모션 시뮬레이터’에 대한 실증특례를 받았다.
텔라움 ‘통신사 무인기지국 원격전원관리시스템’은 임시허가를 받았다. 이는 무인기지국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해 원격으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복구하는 시스템이다.
김지현 테크M 인턴기자 jihyunsports@techm.kr
-
[테크M 기획] 비트코인 ‘불마켓’에도 국내 프로젝트는 부진…암호화폐 규제가 원인암호화폐에서 대장주 역할을 맡은 비트코인이 급등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보스코인과 하이콘 같은 국산 암호화폐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정부의 강압적인 정책에 따른 규제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국내외 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아울러 각 프로젝트별로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나오지 않는데다 일부 업체는 내분까지 나타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비트코인 800만원대로 급상승암호화폐 시장에 따르면 올해 1월 400만원대에 가격이 형성됐던2019-05-13 18:20:38김태환 기자
-
[테크M 북카페] ‘제로 투 원’ 신화를 만든 무적의 투자 원칙 - 피터 틸“손대는 모든 것을 미래 자본으로 만드는 무적의 남자.”피터 틸은 핀테크 시대를 성공적으로 개척한 세계 최초 전자결제업체 페이팔의 공동창업자다. 그는 스페이스엑스 창업자 일론 머스크, 유튜브 공동 창업자 채드 헐리와 스티브 챈, 링크드인을 만든 리드 호프먼을 이끄는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代父)로 알려져 있다.또 에어비앤비, 스포티파이와 같은 유명 벤처 기업에 초기 투자해 억만장자가 된 손꼽히는 벤처캐피털 투자자이자, 페이스북 가치를 꿰뚫어 본 첫 외부투자2019-05-13 18:12:00김태환 기자
-
“정부 암호화폐 정책 ‘불통’ 심각”...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이 현 정부의 암호화폐 관련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인데도 무리하게 분리를 시도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을 알려고 하지도 않은 채 불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정부 당국이 블록체인 개념을 올바로 이해함과 동시에 유관기관과 전문가, 관련업계로 구성된 TFT(태스크포스팀)를 구성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10일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테크 & 토크’2019-05-13 17:57:12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