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 단독] '미디어 콘텐츠 발빠른 선도' CJ ENM, PD 조직 개편…채널 경계 허물어
채널 중심 조직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한 데 모아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와 예능 실험을 하면서 미디어 콘텐츠의 획을 그은 CJ ENM이 PD조직을 개편한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tvN, 올리브, 온스타일 등 각 채널 중심의 PD조직에서 채널 구분 없이 PD들을 한 데 모은 편제로 변경한 것. 콘텐츠 장르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는 업계 트렌드와 빠르게 바뀌는 시장 환경을 반영한 것이라는 평가다.
9일 업계에 따르면 CJ ENM은 지난해 채널별로 소속되어 있던 PD 편제를 바꿔 채널 구분없는 조직으로 개편했다. 또 올해 4월 조직개편에서는 글로벌 사업부문에 소속됐던 PD들도 여기에 편입시켰다. 동남아 등 해외에서 프로그램 제작을 책임졌던 PD들까지도 한 조직으로 모은 것.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ENM 제작직군의 편제는 tvN예능국, 스타일국 등 채널 중심이었지만, 콘텐츠 중심으로 편제가 바뀌었다”며 “한 채널 소속 PD가 반드시 그 채널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을 지양하는 방향성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기존 tvN 제작팀 소속 PD가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tvN에서 프로그램이 방영됐고 온스타일 제작팀 소속 PD의 프로그램은 온스타일에서 방영되는 것이 기본이었다면, 이 경계가 허물어진 것이다. CJ ENM은 채널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프로그램 본방송 동시 방영 등을 하기도 했지만, 이와 차원이 다른 PD 편제가 이뤄진 것.
이제는 CJ ENM 소속 예능PD라면, 기획에 따라 어떤 채널에라도 프로그램이 방영될 수 있도록 기회가 열린 것이다.
하지만 근시일 내에 tvN에서 스타일 중심의 프로그램이 방영되거나, 올리브에서 게임 관련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등 채널 브랜드를 모호하게 만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예능 PD들을 한 곳에 모으면서 프로그램 편성을 위한 PD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CJ ENM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경계 없이 프로그램 기획안을 내놓다 보니, 프로그램이 제작될 순서가 언제인지 알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며 "지상파에서 영입된 PD사단의 프로그램 기획안이 먼저 채택되고, 그 다음으로 누가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될까 하는 분위기도 일부 있다"고 말했다.
업계 내에서 혁신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가장 빠르게 내놓으며 선도하고 있는 CJ ENM이 시장 변화를 감지하고 내놓은 조직 개편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콘텐츠 장르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는 업계 트렌드와 빠르게 바뀌는 시장 환경을 반영해 예능 PD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주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김예람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M 기획] 비트코인 ‘불마켓’에도 국내 프로젝트는 부진…암호화폐 규제가 원인암호화폐에서 대장주 역할을 맡은 비트코인이 급등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도 보스코인과 하이콘 같은 국산 암호화폐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정부의 강압적인 정책에 따른 규제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국내외 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아울러 각 프로젝트별로 실제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나오지 않는데다 일부 업체는 내분까지 나타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비트코인 800만원대로 급상승암호화폐 시장에 따르면 올해 1월 400만원대에 가격이 형성됐던2019-05-13 18:20:38김태환 기자
-
[테크M 북카페] ‘제로 투 원’ 신화를 만든 무적의 투자 원칙 - 피터 틸“손대는 모든 것을 미래 자본으로 만드는 무적의 남자.”피터 틸은 핀테크 시대를 성공적으로 개척한 세계 최초 전자결제업체 페이팔의 공동창업자다. 그는 스페이스엑스 창업자 일론 머스크, 유튜브 공동 창업자 채드 헐리와 스티브 챈, 링크드인을 만든 리드 호프먼을 이끄는 ‘페이팔 마피아’의 대부(代父)로 알려져 있다.또 에어비앤비, 스포티파이와 같은 유명 벤처 기업에 초기 투자해 억만장자가 된 손꼽히는 벤처캐피털 투자자이자, 페이스북 가치를 꿰뚫어 본 첫 외부투자2019-05-13 18:12:00김태환 기자
-
“정부 암호화폐 정책 ‘불통’ 심각”...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이 현 정부의 암호화폐 관련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분리될 수 없는 개념인데도 무리하게 분리를 시도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을 알려고 하지도 않은 채 불통하고 있다는 설명이다.정부 당국이 블록체인 개념을 올바로 이해함과 동시에 유관기관과 전문가, 관련업계로 구성된 TFT(태스크포스팀)를 구성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10일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테크 & 토크’2019-05-13 17:57:12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