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오폐수 처리 성능 9배 높인 값싼 니켈 촉매 개발…국내 연구진 활성화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국내 연구진이 값싼 니켈을 이용한 촉매를 개발해, 오폐수 처리 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김종식 박사팀이 하수와 폐수 처리에 값싼 니켈을 이용한 촉매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일 산업 현장에서 엄청나게 발생하는 하수와 폐수는 오염물을 제거한 뒤 방류된다. 이때 염료와 항생제 같은 오염물을 환경에 무해한 물과 이산화탄소 등으로 분해한다. 지금까지는 철 기반 촉매로 라디칼 전구체를 활성화시켜 산화역할을 하는 라디칼을 만들어 오염물을 분해했다.
그러나 철 촉매는 성능이 낮고, 한 번 밖에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KIST 김종식 박사팀은 최근 다른 금속을 촉매로 활용하면 철 촉매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연구에 나섰다. 먼저 철과 비슷한 물리와 화학적 특징을 지닌 망간과 코발트, 니켈, 구리를 사용해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지는 5가지 황화물 촉매를 제작해 연구했다. 그 결과 ‘니켈황화물’ 촉매가 라디칼 전구체 활성화와 오염물 분해에 가장 우수한 성능과 지속성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이 개발한 니켈황화물 촉매는 기존 철 촉매보다 약 3배 향상된 라디칼 생산성을 제공하고, 약 9배 향상된 오염물 분해 성능을 보였다. 또 철 촉매가 지닌 1회성을 극복,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 경제적으로도 큰 이점이 있어 앞으로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니켈황화물 촉매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이유도 밝혀냈다. 라디칼이 촉매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탈착’ 단계가 쉬울수록 오염물이 더 효과적으로 분해된다는 사실을 규명, 금속황화물 촉매에서 라디칼 전구체 활성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KIST 김종식 박사는 “물 속 오염물 처리를 위한 차세대 촉매 개발과 메커니즘, 효용성을 세계 최초로 검증한 획기적이며 도전적인 연구였다”며, “앞으로 상용화를 위한 니켈황화물 촉매 표면 개선 연구에 매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촉매분야 과학전문지인 ‘응용 촉매 B: 환경’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M 기자 gopoong@techm.kr
-
IT기자도 낚일 뻔한 ‘이메일 피싱’ 수법, 더욱 교묘해진다이메일을 활용해 랜섬웨어를 감염시키는 이메일 피싱 공격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운영체제 업데이트와 백신을 활용해 점검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링크 클릭과 첨부파일 다운로드를 의도적으로 유도하는 메일은 삭제해야 한다. 모르는 사람이나 신원이 확실치 않은 사람이 보낸 이메일은 열어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IT기자도 당할 뻔 했다”기자는 언제나 출근하자마자 이메일부터 확인했다. ‘mtn.co.kr’ 이름으로 공지 이메일이 들어와 있었다. 이메일로 본 계2019-05-15 16:48:52김태환 기자
-
'LG V50 씽큐' 공짜로 구매… 불법행위 난무하는 '5G폰 시장'앵커>이통사간 5G 가입자 유치 경쟁이 불붙으면서 새 프리미엄폰이 공짜에 팔리는 등 불법보조금 영업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결국 주무부처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이통사들에게 주의를 줬는데요. 각종 불법행위가 난무하는데도 정부가 시장을 방관하고 대응도 한발 늦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이명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이동통신사들의 5G폰 불법보조금 영업으로 인해 통신시장이 대혼란에 빠졌습니다.판매가가 119만원인 'LG V50 씽큐'는 출시 하루 만에 공짜로 구매 가능했습니다. 지난 주말 집단상2019-05-15 09:06:48이명재 기자
-
정부, 올해 수소차 보급목표 35% 상향…수소충전소 확충도 속도정부가 올해 수소전기차 보급 목표를 기존보다 35% 높이기로 했다. 연말까지 5,467대를 새롭게 보급해 누적 보급 대수를 지난해의 7배 규모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수소차 사용자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한 수소 충전소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고 밝혔다.에너지위원회는 에너지법 제9조에 따라 주요 에너지 정책과 관련 계획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산업부 장관 소속 위원회다. 이날 회의는 지난 2월 제5기 에너지위원회 위원 위2019-05-15 09:02:55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