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바이오헬스 시대 개막"…정부 연간 4조원까지 지원 확대
[앵커멘트]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매년 투자를 늘려 오는 2025년에는 4조 원까지 확대한다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사람중심의 혁신성장을 실현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겁니다. 소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 매년 투자지원금을 늘려 오는 2025년에는 4조원까지 늘리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보건복지부, 기획재정부 등 8개 정부부처는 오늘(22일) 바이오헬스 국가비전 선포식을 열고 앞으로 투자 계획을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 R&D를 20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스케일업 전용 펀드를 통해 앞으로 5년간 2조원 이상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한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우리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3대 신산업으로 선정해 오는 2030년까지 제약·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 6%, 500억 달러 수출, 5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 등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생태계 조성부터 인허가 규제 완화, 생산성 향상과 시장 진출 촉진 등 4가지 혁신전략 주요 과제도 선정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이오헬스 기술개발의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등 5대 플랫폼을 구축하고 병원을 혁신거점으로 육성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글로벌 수준의 인허가 규제 합리화를 위해 식약처 심사 인력을 확충하고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효과성을 입증하면 법령을 개선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또 바이오헬스 생산활력과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선도기업과 창업·벤처기업의 협력체계 구축에 정부가 다리를 놓고, 전문인력 양성과 원부자재 30% 국산화도 지원합니다.
혁신적인 제품들의 시장출시를 촉진하기 위해 대형병원을 국산기기 평가센터로 지정하는 한편 시스템과 의약품, 의료기기를 하나로 묶는 패키지 동반 수출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 이번 전략을 통해 제약·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을 3배 확대하고, 바이오헬스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하며, 좋은 일자리 30만개가 생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이오헬스 분야가 3대 신산업으로 선정, 정부의 지원 로드맵이 밝혀지면서 바이오헬스 분야는 모처럼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소재현 입니다.
소재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티맥스, 통합 클라우드 스택으로 차별화…"퍼스트 무버 되겠다"한국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 티맥스소프트가 기존 인프라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넘어 서비스 중심의 통합 클라우드 스택을 내세워 차별화를 선언했다.티맥스는 강점을 보이는 미들웨어 플랫폼과 UI(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융합해 클라우드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모든 분야를 지원한다는 설명이다.통합 클라우드 스택을 통해 IT 시장에서 지금껏 걸어온 ‘패스트 팔로워’가 아니라 ‘퍼스트 무버’가 돼 시장을 선도한다는 주장이다.2019-05-23 16:46:29김태환 기자
-
ETRI, 250배 더 선명한 홀로그램 픽셀 기술 개발…수직으로 쌓는 1㎛ 픽셀 초고해상도 원천기술 확보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시야각을크게 높인 초고해상도 픽셀 기술을 개발했다. 이에 자연스러운 홀로그램과 초고화질 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빨리 실용화될 전망이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픽셀 크기와 픽셀 간격을 마이크로미터(㎛)수준으로 줄여 화질과 시야각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픽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1㎛ 픽셀 간격 소자를 활용하면 72K 해상도 패널도 만들 수 있다.홀로그램은 주로 액정을 이용한 공간 광변조 기술을 쓴다.2019-05-23 10:19:51박응서 기자
-
스크린골프부터 가상 테니스까지…첨단 IT 특허 만난 가상현실 스포츠 ‘진화’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스크린골프와 같은 가상현실 스포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2017년 기준 1조 2,000억원 시장으로 성장한 스크린골프는 물론 야구와 런닝, 사이클과 사격, 낚시, 테니스 등 파생시장까지 형성되면서 가상현실 스포츠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이러한 가상현실 스포츠 활성화의 뒤에는 첨단 IT가 적용된 특허기술이 있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이 접목된 화면을 머리에 쓰고 스포츠를 즐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2019-05-23 09:48:35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