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카카오 i 번역, 1년 반만의 대대적 개편…언어 6개→19개로 확장
지원언어 확장·번역 성능 개선·학습 보조 기능 추가
카카오가 인공지능(AI) 기반 번역 서비스 '카카오 i 번역'을 개편해 지원 언어를 19개로 확장했다고 22일 밝혔다. 카카오에서 번역 서비스를 시작한 지 1년 반만의 대대적인 변화다.
카카오 i 번역은 그동안 6개 언어(영어·일본어·중국어·베트남어·인도네시아어)와 한국어 간의 번역만 지원했다. 이번 개편을 통해 카카오 i 번역에는 13개의 언어가 추가돼 총 19개의 언어를 지원한다. 또한 한국어가 포함되지 않는 다른 모든 언어 간에도 번역이 가능해졌다.
추가된 언어는 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포르투갈어·러시아어·이탈리아어·네덜란드어·터키어·태국어·말레이시아어·아랍어·힌디어·벵골어다.
카카오 측은 대대적인 언어 추가에 대해 "지금까지 축적된 기계번역과 관련된 기술력을 한데 모아서 발산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원하는 언어의 수를 늘리고 모든 언어 쌍 간의 번역이 가능하려면 막대한 학습 모델과 자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어-영어 번역에서는 '한영, 영한'의 두 가지 학습 모델이 필요하다. 여기에 언어 하나를 더 추가해 한국어-영어-일본어 3가지 언어를 지원해야 한다면 '한영, 한일, 영한, 영일, 일한, 일영' 6가지 학습 모델이 필요하다.
19개의 언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총 342개나 되는 모델이 필요하다.
카카오는 NMT(Neural Machine Translation)라는 인공지능 모델을 통해 학습해야 하는 모델을 줄였다. 언어 A와 B사이 번역이 가능하고 B와 C 사이의 번역이 가능하다면, A와 C 사이의 번역 역시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원문을 공통적인 정보, 문장벡터로 바꿔놓고 이를 대상언어로 바꾸는 원리다.
카카오는 한국어-영어 번역 성능도 개선했다.
먼저 이름 등 고유명사의 인식 정확도가 높아졌다. 예를 들어 배우 '유연석'의 경우 한영 번역에서 '유연한 돌(the flexible stone)'으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었지만 개선 이후에는 제대로 'Yoo Yeonseok'으로 표기된다.
문맥정보를 활용해 다의어(하나의 단어가 여러 뜻을 가진 경우)도 알맞게 번역하도록 성능이 높아졌다. 앞뒤 문장이나 문단의 정보를 활용해 어울리는 뜻의 번역을 인공지능이 선택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문체 설정 ▲단어 단위 하이라이팅(형광펜 표시) ▲어학사전 연동 기능 등 학습 보조 기능도 추가됐다.
문체 설정은 외국어에서 한국어로 번역시 번역 결과물에 예사말(높이거나 낮추는 말이 아닌 보통 말)과 높임말로 문체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다.
카카오i 번역 창 하단에서 예사말과 높임말 버튼을 누르면 서비스하는 모든 언어의 번역 결과물에 문체를 설정할 수 있다.
번역된 단어와 원문 단어를 연결해주는 하이라이팅 기능은 다음 어학사전과 연동돼 학습 기능으로 활용된다.
번역된 결과에서 특정 단어를 마우스로 두 번 누르거나 끌어 당기면 단어의 정의와 관련 예문이 나타난다. 단어 혹은 옆에 표기되는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다음 사전 페이지로 이동해 관련어·문법 등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 측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번역 가능한 언어를 추가하고 번역 서비스를 고도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티맥스, 통합 클라우드 스택으로 차별화…"퍼스트 무버 되겠다"한국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 티맥스소프트가 기존 인프라 중심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넘어 서비스 중심의 통합 클라우드 스택을 내세워 차별화를 선언했다.티맥스는 강점을 보이는 미들웨어 플랫폼과 UI(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데이터베이스,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융합해 클라우드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모든 분야를 지원한다는 설명이다.통합 클라우드 스택을 통해 IT 시장에서 지금껏 걸어온 ‘패스트 팔로워’가 아니라 ‘퍼스트 무버’가 돼 시장을 선도한다는 주장이다.2019-05-23 16:46:29김태환 기자
-
ETRI, 250배 더 선명한 홀로그램 픽셀 기술 개발…수직으로 쌓는 1㎛ 픽셀 초고해상도 원천기술 확보국내 연구진이 홀로그램 시야각을크게 높인 초고해상도 픽셀 기술을 개발했다. 이에 자연스러운 홀로그램과 초고화질 영상을 이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더 빨리 실용화될 전망이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픽셀 크기와 픽셀 간격을 마이크로미터(㎛)수준으로 줄여 화질과 시야각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픽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1㎛ 픽셀 간격 소자를 활용하면 72K 해상도 패널도 만들 수 있다.홀로그램은 주로 액정을 이용한 공간 광변조 기술을 쓴다.2019-05-23 10:19:51박응서 기자
-
스크린골프부터 가상 테니스까지…첨단 IT 특허 만난 가상현실 스포츠 ‘진화’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고, 남녀노소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 스크린골프와 같은 가상현실 스포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2017년 기준 1조 2,000억원 시장으로 성장한 스크린골프는 물론 야구와 런닝, 사이클과 사격, 낚시, 테니스 등 파생시장까지 형성되면서 가상현실 스포츠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이러한 가상현실 스포츠 활성화의 뒤에는 첨단 IT가 적용된 특허기술이 있다.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이 접목된 화면을 머리에 쓰고 스포츠를 즐기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2019-05-23 09:48:35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