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사람 대신 도로 낙하물과 로드킬 자동 처리 차량 개발
이제 도로 낙하물 수거에 사람이 직접 나서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이 도로 낙하물 자동 수거 처리를 위한 ‘ROBOS(Road Debris Remover System)’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ROBOS는 도로 낙하물을 자동으로 수거하는 시스템을 탑재한 대형 트럭이다.
도로 낙하물은 운전자와 도로작업자 모두의 생명을 위협하는 흉기다. 도로에 떨어진 화물이나 교통사고를 당한 야생동물인 로드킬이 대표적이다. 충돌하며 직접 사고를 일으킬 뿐 아니라 회피 과정에서 급감속이나 차로변경으로 사고 발생 위험도 높아진다.
낙하물 수거 작업도 사람이 직접 진행해야 해, 수거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2차 사고 위험까지 존재한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도로보수원 사상자 연평균 15명 정도가 발생했는데, 전체 인력 25%에 달하는 수치다. 외국도 사람에 의존해 낙하물을 수거한다. 간단한 장비가 있지만 로드킬 수거는 불가능하고, 타이어 파편 같은 특정 낙하물 수거만 제한적으로 할 수 있는 수준이다.
건설연 양충헌 박사 연구팀은 도로 낙하물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수거하는 차량형 도로청소기, ROBOS를 개발했다. 도로 낙하물 위로 ROBOS가 지나가면 ROBOS 아래에 설치된 장비가 낙하물을 빗자루로 쓸어담듯이 수거 바구니로 수집한다.
일반 낙하물은 한 번에 5㎏, 로드킬은 10㎏까지 수거할 수 있다. ROBOS 운전자는 수거 과정을 모니터로 확인하고, 수거물을 일반 낙하물과 로드킬로 구분해 쌓는다. 이렇게 하면 로드킬 부패로 발생하는 위생 문제를 예방하고, 로드킬 사후 처리도 쉽다.
실험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도로조건에서 수거율을 테스트한 결과 총 13종 낙하물에 대한 수거 처리 확률이 9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원 국토관리사무소 관할 도로에 국토사무소 도로관리팀과 함께 투입돼 주 1회 시범운영 중이다. 5월 말까지 시범운영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뒤 실제 도로에서 필요한 개선사항을 확인해 보완할 예정이다.
건설연 양충헌 박사는 “ROBOS가 상용화돼 도로 낙하물로 인해 발생하는 안타까운 교통사고가 줄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 kr
-
[뉴스후] LG유플, 5G 경쟁서 뒤처질까 …부각되는 화웨이 장비 보안 문제앵커>미국이 중국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에 대한 거래 제한에 우리나라에도 동참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미국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지만, 화웨이와 절연하기도 어려운 상황인데요. 김예람 기자와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앵커1>반 화웨이 정서가 생긴 배경은 무엇인가요?기자>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5일 "외부 위협으로부터 미국의 IT 기술과 서비스를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트럼프 대통령이 새롭게 서명한2019-05-28 09:29:37김예람 기자
-
[블록체인리포트] 스마트폰으로도 퍼블릭 블록체인 구축 - 박종열 그래비티 CTO블록체인에서 합의 알고리즘과 난수를 푸는 과정 같은 처리로 고사양 PC자원이 필요하다는 고정관념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같은 제한적인 용량과 CPU에서도 노드를 돌아가게 하려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바로 그래비티입니다. 박종열 그래피티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설명하는 그래피티가 만들어 갈 블록체인 세상을 만나보세요.[대담=선소미 블록체인 전문 앵커]그래비티(Grabity)는 어떤 프로젝트인가?기존 앱 개발사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려할 때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어2019-05-27 17:44:16선소미 블록체인 전문 앵커
-
WHO 게임중독 '인증' 그 후....격랑 온다예상대로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함에 따라 '후폭풍'이 뒤따를 전망이다. 우리 정부가 WHO의 분류를 수용할지 여부를 두고 정부 부처간 의견이 엇갈리고, 이해관계와 명분을 둔 신경정신의학계와 문화산업계 간의 대립도 극심하기 때문이다.과거 게임 셧다운제와 중독예방기금 징수 입법을 두고 벌어졌던 공방이 다시 재연될 가능성이 유력한데, 최근 성장정체와 수익성 감소로 고전하는 게임산업은 규제역풍으로 적지 않은 위협을 입게 됐다.WHO가 25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72차2019-05-27 09:42:58서정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