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차세대 배터리 성능 높이는 복합촉매 개발…UNIST, 금속공기전지 상용화 앞당겨
고용량 배터리를 구현을 앞당길 수 있는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기술이 개발됐다.
UNIST가 에너지와 화학공학부 김건태 교수팀이 금속-공기전지 성능을 높이는 새로운 복합촉매(NP Co₃O₄/Fe@C₂N)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코발트와 철을 안정적으로 묶어서 시너지 효과를 얻었는데, 현상 원리까지 분석해 앞으로 다양한 분야로 활용할 가능성도 제시했다.
금속공기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고용량 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후보로 꼽힌다. 이를 상용화까지 가져가려면 안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새 복합촉매는 이 두 조건을 충족한다.
금속공기전지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연료극과 산소를 활용하는 공기극으로 이뤄진다. 전기를 사용할 때는 금속에서 산화된 전자가 공기극으로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키고, 충전할 때는 공기극에서 금속으로 전자를 이동시키며 전기를 저장한다. 이때 반응이 잘 일어나도록 돕는 촉매로 백금(Pt)이나 산화이리듐(IrO₂) 같은 귀금속 촉매를 사용한다. 그런데 가격이 비싸고 내구성이 낮아 한계가 있다.
김건태 교수팀은 귀금속 촉매 대신 코발트 산화물(Co₃O₄)과 철을 포함한 2차원 유기고분자(Fe@C₂N)로 복합촉매를 만들었다. Fe@C₂N 촉매는 백종범 UNIST 교수팀이 개발한 것으로 방전 반응에서 뛰어난 효율을 보인다. 반면 충전 반응에서는 효율이 낮았는데, 여기에 코발트 산화물 금속을 더해 충·방전에서 모두 뛰어난 효율을 보이게 만들었다.
김건태 교수는 “금속공기전지에 값싼 고효율 촉매를 쓰면 상용화를 한층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며 “차세대 공기극 신소재 개발과 안정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단서도 제공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CEO리포트] 소셜데이터로 AI 교육 주도…'평생 교육 플랫폼' 꿈꾸는 클래스팅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학습 상품이 쏟아지고 있다. 개인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분석하는 기술이 발전한 덕분이다.친구와 대화했던 내용, 쇼핑 내역, 즐겨 봤던 영상 등이 기록으로 남아 개인의 성향과 선호 분야를 추론하는 일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기술은 '맞춤형 학습'에도 활용되고 있다.'알림장 앱'으로 유명해진 클래스팅은 이러한 학습 트랜드를 주도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특이한 것은 학습 데이터뿐 나이라 소셜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학습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교사2019-05-31 08:53:48윤석진 기자
-
[기업분석] 정수기, 매트리스, 홈뷰티…렌털 사업 몸집 키우는 바디프랜드앵커>안마의자로 유명한 바디프랜드가 정수기, 매트리스 렌털 사업에 뛰어든 지 올해 6년째입니다. 안마의자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사업 다각화 일환으로 시작했는데요. 어느새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황윤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안마의자로 유명한 바디프랜드가 사업 다각화를 시작한 것은 6년 전.2013년 12월 매트리스 렌털을 시작했고, 2014년 9월에는 정수기 렌털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사업 다각화 전 매출액은(2013년) 780억 원이었으나 지난해 4,470억 원으로 약2019-05-31 08:47:57황윤주 기자
-
한화시스템-고려대, 인간 중심 인공지능 공동 연구센터 설립한화시스템이 고려대 공과대학과 함께 인공지능(AI) 기술로 삶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인간 중심 인공지능(HCAI) 공동 연구센터를 설립했다고 30일 밝혔다.양 기관은 ‘HCAI’ 센터 설립을 통해 ▲AI 기술 공동 연구와 자문 ▲AI 전문가양성을 위한 역량강화 커리큘럼 개발과 액션러닝 프로그램 진행 ▲AI 연구개발 프로젝트 수행 ▲국내외 AI 학술대회 참가와 같은 주요 분야에서 협력한다.특히 양 기관은 협력을 적극 지원하고, 연구개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한화시스템 AI 전문2019-05-30 15:48:1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