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한국인 말과 감성 이해하는 AI 시대 앞당긴다…한국어 음성, 대화, 복합영상 데이터 250만개 개방
한국 사람의 감정에 대한 영상 정보, 한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성정보를 담고 있는 인공지능(AI)용 데이터가 개방된다. 이번 데이터 개방이 AI기술 활용 스펙트럼을 넓히고, 관련 AI 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금년 6월 250만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공개했다.
공개 데이터는 ①감정, 상황, 대화내용을 담고 있는 복합 영상 데이터, ②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 음성 데이터, ③한국어 챗봇용 대화와 시나리오 데이터, ④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4종이다.
공개 AI 데이터별 활용 가능 서비스
데이터명 |
주요 활용 내용 |
복합영상(멀티모달) 데이터 |
사람의 표정과 대화 속에 내포된 감정을 읽고 사람과 공감하면서 대화하는 AI로봇의 개발 |
한국어 음성 데이터 |
2∼3명이 서로 자연스럽게 연속하여 발화하는 음성데이터로 기존 한국어 AI음성 인식기술 성능 향상 |
한국어 대화 데이터 |
음식점, 소매점, 학원 등 소상공인 업종에서 자주 발생하는 상황과 질문‧답변을 데이터로 제공하여 AI 챗봇 개발에 활용 |
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
다양한 질문과 정답의 쌍을 AI에 딥러닝시켜 전후 맥락을 짚어 정확한 답변을 찾아 제공하는 AI로봇 개발 |
“데이터 확보가 AI 경쟁력”이지만 중소․벤처․스타트업 다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데이터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인공지능 데이터 구축‧공개 사업’은 AI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신생기업들에게 매력 높은 사업이다.
2017년부터 법률과 특허, 일반상식, 한국형 이미지 4종 데이터셋 구축을 시작해, 2019년 1월에 관광과 농업, 헬스케어 등 7종을 개방했다. 6월에 한국어 음성 등 4종을 추가로 개방했다.
올해 말에는 한영 번역말뭉치, 한국형 사물이미지, 한글 글자체 이미지, 이상행동 영상 같은 10종 2500여만건의 데이터셋을 공개할 예정이다.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현황과 계획
또 국가 R&D 과제인 지능정보 플래그십 사업 등을 통해 만든 AI 학습용 데이터 다수를 7월 AI허브에 공개할 예정이다.
지능정보 플래그십 사업은 음성과 언어,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학습해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대화형 에이전트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AI분야 연구개발(R&D) 사업이다.
NIA 문용식 원장은 “AI 제품과 서비스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셋을 대량 구축하고 공개해 국내 AI 산업과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테크엠 르포] 서울 시장 1일 체험, “천만 도시 민낯 디지털시장실에서 확인”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혁신을 이루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확산이 가속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지역 사회에서 현안을 데이터로 정형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활용한다.최근 서울시는 ‘디지털시장실’을 설치했다. 대형 화면에서 재난‧교통‧유동인구‧정책현황‧상수도 같이 서울과 연관된 거의 모든 데이터를 시각화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음성인식과 모션을 활용한 명령도 할 수 있으며, 말단직원과 시장이 화상으로 통화도 할 수 있다2019-06-14 18:59:41김태환 기자
-
'인도'를 잡아라…'벵갈루루'로 몰리는 韓 IT 스타트업[앵커멘트]신흥경제국 인도가 새로운 IT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아마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국내 IT 기반의 스타트업들도 초기부터 현지 시장을 공략해 속속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가 전합니다.[기사내용]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로 꼽히는 '벵갈루루(Bangaluru)'.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전세계 수많은 스타트업이 모여드는 IT 중심지입니다.지난해 이 곳에 법인을 세우고 비디오 커머스 사업을 시작한 이 스타트업은 SN2019-06-14 14:05:19박수연 기자
-
한국인 말과 감성 이해하는 AI 시대 앞당긴다…한국어 음성, 대화, 복합영상 데이터 250만개 개방한국 사람의 감정에 대한 영상 정보, 한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성정보를 담고 있는 인공지능(AI)용 데이터가 개방된다. 이번 데이터 개방이 AI기술 활용 스펙트럼을 넓히고, 관련 AI 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금년 6월 250만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공개했다.공개 데이터는 ①감정, 상황, 대화내용을 담고 있는 복합 영상 데이터, ②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 음성 데이터, ③한국어 챗봇용 대화와 시나리오 데이터, ④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4종이다.공개 AI 데이터별2019-06-14 10:22:2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