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내년부터 ‘수소전기열차' 시대 열린다'…1회 충전으로 200km 주행 곧바로 상용화 가능
[앵커멘트]
수소 차량에 이어 수소열차시대가 성큼 다가왔습니다. 현대로템이 수소전기열차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는데 친환경성은 물론 경제성까지 뛰어나 디젤열차들을 대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평가입니다. 당장 내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해 곧 달리는 수소열차를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사내용]
지금까지 열차는 디젤기관이나 전기로만 운영돼 왔습니다.
디젤열차는 환경오염의 문제를 안고 있고 전기열차는 전선과 변전소 설치 등 경제성에 약점을 안고 있습니다.
수소차 개발을 주도한 현대차그룹 계열사인 현대로템이 수소를 연료로 전기동력을 만들어내는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수소열차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제 옆으로 보이는 이 열차는 수소에너지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수소전기열차입니다. 개발이 완료되는 내년이면 이 열차는 국내는 물론 전 세계 모든 철로를 달릴 수 있습니다.
현대로템이 개발하고 있는 수소전기열차는 최고시속 70km, 1회 충전 시 최대 200km까지 주행이 가능합니다.
전기열차에 비해선 전차선과 변전소 등이 필요하지 않아 전력 인프라 건설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디젤열차와 비교하면 오염물질을 아예 배출하지 않는 것은 물론 소음도 60% 이상 줄일 수 있어 민원의 소지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내구연한이 도래하는 디젤 철도차량은 230량.
전부 수입해온 디젤 철도차량을 수소전기열차로 대체한다면 대략 1조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현대로템은 화물용 수소전기열차를 시작으로 도심용 트램과 여객 기관차까지 개발을 확대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우유철 현대로템 부회장 : 수소전기열차는 일단 전체 건설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요. 그래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가 있습니다. 또한 가장 친환경적인 수송시스템이기 때문에 앞으로 미래에 굉장히 각광받을 열차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수소전기열차가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수소 양산 시스템을 통한 가격 현실화와 운송 인프라 구축 등 풀어나가야 할 선결 과제들이 남아있어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승교입니다.
김승교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엠 르포] 서울 시장 1일 체험, “천만 도시 민낯 디지털시장실에서 확인”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혁신을 이루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확산이 가속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지역 사회에서 현안을 데이터로 정형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활용한다.최근 서울시는 ‘디지털시장실’을 설치했다. 대형 화면에서 재난‧교통‧유동인구‧정책현황‧상수도 같이 서울과 연관된 거의 모든 데이터를 시각화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음성인식과 모션을 활용한 명령도 할 수 있으며, 말단직원과 시장이 화상으로 통화도 할 수 있다2019-06-14 18:59:41김태환 기자
-
'인도'를 잡아라…'벵갈루루'로 몰리는 韓 IT 스타트업[앵커멘트]신흥경제국 인도가 새로운 IT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아마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국내 IT 기반의 스타트업들도 초기부터 현지 시장을 공략해 속속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가 전합니다.[기사내용]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로 꼽히는 '벵갈루루(Bangaluru)'.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전세계 수많은 스타트업이 모여드는 IT 중심지입니다.지난해 이 곳에 법인을 세우고 비디오 커머스 사업을 시작한 이 스타트업은 SN2019-06-14 14:05:19박수연 기자
-
한국인 말과 감성 이해하는 AI 시대 앞당긴다…한국어 음성, 대화, 복합영상 데이터 250만개 개방한국 사람의 감정에 대한 영상 정보, 한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성정보를 담고 있는 인공지능(AI)용 데이터가 개방된다. 이번 데이터 개방이 AI기술 활용 스펙트럼을 넓히고, 관련 AI 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금년 6월 250만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공개했다.공개 데이터는 ①감정, 상황, 대화내용을 담고 있는 복합 영상 데이터, ②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 음성 데이터, ③한국어 챗봇용 대화와 시나리오 데이터, ④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4종이다.공개 AI 데이터별2019-06-14 10:22:2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