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SW 산업진흥법 개정안 발의...SW 개발보안 진흥 법적근거 담아
박선숙 의원 대표 발의
2019-06-13서정근 기자
박선숙 의원이 12일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의 진흥을 위한 법적 근거를 담은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서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인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의 정의를 마련하고, 정부가 이를 진흥하고자 관련 기술을 연구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등 관련 기반을 조성하도록 하는 근거 조항을 적시했다.
현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행정안전부 고시)에 따라 행정기관은 정보화 사업 추진 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에 납품되는 소프트웨어는 국정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제시하는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기준에 따라 개발 되어야 한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관련 의무 규정이 없을 뿐 아니라, 최소비용·최소시간·최소인력으로 제품 개발을 진행해야 하는 대다수의 중소업체들에게는 이러한 개발 방법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런 현실을 고려하여 국가 전반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고 내실 있는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을 진흥하고 이에 대한 시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엠 르포] 서울 시장 1일 체험, “천만 도시 민낯 디지털시장실에서 확인”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혁신을 이루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확산이 가속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지역 사회에서 현안을 데이터로 정형화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활용한다.최근 서울시는 ‘디지털시장실’을 설치했다. 대형 화면에서 재난‧교통‧유동인구‧정책현황‧상수도 같이 서울과 연관된 거의 모든 데이터를 시각화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음성인식과 모션을 활용한 명령도 할 수 있으며, 말단직원과 시장이 화상으로 통화도 할 수 있다2019-06-14 18:59:41김태환 기자
-
'인도'를 잡아라…'벵갈루루'로 몰리는 韓 IT 스타트업[앵커멘트]신흥경제국 인도가 새로운 IT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아마존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국내 IT 기반의 스타트업들도 초기부터 현지 시장을 공략해 속속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박수연 기자가 전합니다.[기사내용]전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도시 중 하나로 꼽히는 '벵갈루루(Bangaluru)'.인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며 전세계 수많은 스타트업이 모여드는 IT 중심지입니다.지난해 이 곳에 법인을 세우고 비디오 커머스 사업을 시작한 이 스타트업은 SN2019-06-14 14:05:19박수연 기자
-
한국인 말과 감성 이해하는 AI 시대 앞당긴다…한국어 음성, 대화, 복합영상 데이터 250만개 개방한국 사람의 감정에 대한 영상 정보, 한국어의 자연스러운 발성정보를 담고 있는 인공지능(AI)용 데이터가 개방된다. 이번 데이터 개방이 AI기술 활용 스펙트럼을 넓히고, 관련 AI 서비스 상용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금년 6월 250만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공개했다.공개 데이터는 ①감정, 상황, 대화내용을 담고 있는 복합 영상 데이터, ②자연스러운 한국어 대화 음성 데이터, ③한국어 챗봇용 대화와 시나리오 데이터, ④한국어 기계독해 데이터 4종이다.공개 AI 데이터별2019-06-14 10:22:2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