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삼성SDS, ‘넥스레저 유니버셜’로 블록체인 융합·연결·클라우드 지원
삼성SDS가 ‘넥스레저 유니버셜’ 플랫폼을 활용해 블록체인의 융합과 연결, 클라우드를 지원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하이퍼렛저와 이더리움 같은 이종 블록체인과 연결하고, 금융‧제조‧물류처럼 다양한 서비스를 한 플랫폼에서 융합해 서비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원활한 개발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연결도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넥스레저 유니버셜을 활용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육성하겠다는 의도다.
삼성SDS가 18일 서울 잠실에 위치한 본사 마젠다홀에서 ‘블록체인 미디어데이’를 개최하고, 블록체인 전략을 발표하는 자리를 가졌다.
발표를 맡은 홍혜진 삼성SDS 블록체인센터장은 “블록체인은 투명성과 더불어 탈중개성, 보안성을 확보한 기술”이라며 “이 세가지 특징을 기업에 적용하면 시간 단축 효과로 신속성과 비용 절감으로 인한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 센터장은 “기능과 산업 간 융‧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컨버전스(Convergence, 융합), 서로 다른 블록체인 기술 간 연계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커넥티비티(connectivity, 연결), 서비스 확장성을 확보하고 개발에 편리하도록 해 주는 클라우드와 같이 세 가지 전략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융합 분야는 기능 융합과 산업 융합으로 나눠진다.
김영권 삼성SDS 금융사업부 팀장은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아이덴티티(신원확인), 통합인증(통합 로그인), 디지털 스탬핑(전자문서 생성시점 기록 기술), 데이터 이력 추적, 디지털 페이먼트(지급결제) 같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면서 “이러한 기술들을 하나만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개 섞어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예를 들어 금융사는 신원확인과 통합인증을 결합해 한 제휴사에 로그인하면 다른 제휴사 모두 자동으로 로그인 하는 서비스가 있다”면서 “디지털 스탬핑과 페이먼트 서비스를 합치면 단 한 번의 전자서명(사인)으로 이후 5만원 이상 결제시에도 서명이 불필요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산업간 융합은 공공과 금융 결합, 금융과 헬스케어 결합, 물류와 제조 결합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복지바우처 관리와 보험금 자동 청구, 수출 거래 시 필요한 문서 프로세스 자동화, 원료를 구매해 제품 만들고 판매하는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기술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결성 분야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 간에도 문제 없이 작동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장인수 삼성SDS 상무는 “글로벌 시장에서 블록체인 플랫폼은 IBM과 리눅스재단이 만든 하이퍼렛저와 비탈릭 부테린이 창시한 이더리움을 쓴다”면서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연결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넥스레저가 다른 블록체인 연결 지원에 나섰다”고 말했다.
장 상무는 “실제 삼성SDS는 네덜란드 로테르담항만청 ABN/아모은행과 공동으로 구축한 해운물류 서비스에서 넥스레저와 이더리움을 연결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했다”면서 “이러한 연결성은 넥스레저 유니버셜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세계시장에 확산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환 삼성SDS 클라우드 팀장은 넥스레저 유니버셜과 클라우드 지원에 대해 소개했다.
이지환 팀장은 “넥스레저 유니버셜은 신원확인, FIDO, 디지털스탬핑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앱(DApp)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블록체인 가속기 ‘넥스레저 엑셀러레이터’, 이종간 연결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코어’로 구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 코어는 넥스레저N과 하이퍼렛저 연결을 지원하는 넥스레저H, 이더리움 연결의 넥스레저E로 구성돼 있다”면서 “기업용 분산화 알고리즘을 상황에 맞게 선택해 사용하도록 도와준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넥스레저는 블록체인을 클라우드화 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갖췄다”면서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 넥스레저 유니버셜의 기능을 모두 등재해 클릭 몇 번 만으로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기업용 블록체인 테스트넷을 론칭했다”면서 “기업이나 스타트업이 자신들의 업무 혁신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재미컴퍼니-빙고뮤직,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공동개발 추진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이 개발 중인 글로벌 음원 유통 플랫폼 ‘빙고뮤직’에 대한 공동개발과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KMS글로벌 빙고뮤직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미디어 서비스 기반 글로벌 음원 플랫폼으로 오는 9월 서비스 론칭을 추진하고 있다.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은 공동개발을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유럽과 북·남미, 중동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뮤직 서비스를 본격화한다.재미컴퍼니 관계자는 “빙고뮤직과 재2019-06-18 15:06:38김태환 기자
-
삼성SDS, ‘넥스레저 유니버셜’로 블록체인 융합·연결·클라우드 지원삼성SDS가 ‘넥스레저 유니버셜’ 플랫폼을 활용해 블록체인의 융합과 연결, 클라우드를 지원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하이퍼렛저와 이더리움 같은 이종 블록체인과 연결하고, 금융‧제조‧물류처럼 다양한 서비스를한 플랫폼에서 융합해 서비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원활한 개발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연결도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넥스레저 유니버셜을 활용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육성하겠다는 의도다.삼성SDS가 18일 서울 잠실에 위치한 본사 마젠다홀에서 ‘블록체인 미디어데이&r2019-06-18 14:51:32김태환 기자
-
폭발과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전기차 ESS 상용화 길 전고체전지 제조기술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폭발과 화재 위험은 없고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전고체전지는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현재 상용화한 이차전지는 가연성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 과열이나 과충전하면 팽창해 폭발할 위험이 있다.생기원 김호성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전고체전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사용해 폭발과 화재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 단위셀 여러2019-06-18 14:03:13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