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울퉁불퉁 표면에 쓸 수 있는 플렉서블 센서 기술 개발…하이드로젤 이용한 나노메쉬 전극 전사 프린팅 기술
최근 스마트워치나 피트니스 밴드 같은 웨어러블 기기들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특히 옷처럼 입는 형태에서 피부에 붙이는 형태로 기술이 확장되고 있다. 국내연구진이 이 같은 흐름을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스핀융합연구단 이현정 박사팀이 하이드로젤과 나노 잉크 소재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유연기판에 고성능 센서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전사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하이드로젤은 물을 사용한 젤리 모양 물질이다.
전사 프린팅 공정은 피부에 붙였다 떼면 그림이 옮겨지는 판박이 스티커처럼 프린트할 제품을 미리 만들어놓고 옮길 수 있는 공정이다. 열이나 화학적으로 취약한 기판에 소자를 만들 때 생기는 여러 어려움을 피할 수 있어, 플렉서블 소자 제조에 널리 활용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전사 프린팅공정은 주로 평평한 기판에 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KIST 이현정 박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표면과 거친 특성을 지닌 유연 기판에 고성능 유연 센서를 만들 수 있는 쉽고 간단한 전사 프린팅 공정기술을 개발했다.
KIST 연구진은 하이드로젤 소재가 작은 구멍이 많은 다공성이면서 친수성인 점에 착안했다. 수용액 기반 나노소재 잉크를 기판 형태로 굳힌 하이드로젤 표면에 인쇄하면 인쇄 잉크 중 계면활성제와 물은 하이드로젤 구멍으로 빠르게 빠져나간다. 그리고 구멍보다 크면서 소수성 특성을 지닌 나노 소재만 하이드로젤 표면에 남아 원하는 패턴으로 전극을 만든다.
이때 프린팅 하는 나노 잉크 양을 적게 했더니 전극이 만들어지는 속도가 매우 빨라 나노전극 구조가 균일하고 순도가 높아 전기적 특성이 뛰어났다. 또한 나노 소재의 소수성 특성으로 하이드로젤과 상호 작용이 매우 낮아 전극을 다양한 기판에 손쉽게 전사할 수 있었다.
KIST 이현정 박사는 “고성능 유연 센서를 다양한 특성과 구조를 지닌 기판에 손쉽게 구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앞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지능형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의공학, 차세대 전자소자 분야 등 유연 기판이나 비전통적 기판 소재에 집적하는 고성능 소자 구현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국제 저널인 ‘나노 레터스’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재미컴퍼니-빙고뮤직,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공동개발 추진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이 개발 중인 글로벌 음원 유통 플랫폼 ‘빙고뮤직’에 대한 공동개발과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KMS글로벌 빙고뮤직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미디어 서비스 기반 글로벌 음원 플랫폼으로 오는 9월 서비스 론칭을 추진하고 있다.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은 공동개발을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유럽과 북·남미, 중동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뮤직 서비스를 본격화한다.재미컴퍼니 관계자는 “빙고뮤직과 재2019-06-18 15:06:38김태환 기자
-
삼성SDS, ‘넥스레저 유니버셜’로 블록체인 융합·연결·클라우드 지원삼성SDS가 ‘넥스레저 유니버셜’ 플랫폼을 활용해 블록체인의 융합과 연결, 클라우드를 지원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하이퍼렛저와 이더리움 같은 이종 블록체인과 연결하고, 금융‧제조‧물류처럼 다양한 서비스를한 플랫폼에서 융합해 서비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원활한 개발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연결도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넥스레저 유니버셜을 활용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육성하겠다는 의도다.삼성SDS가 18일 서울 잠실에 위치한 본사 마젠다홀에서 ‘블록체인 미디어데이&r2019-06-18 14:51:32김태환 기자
-
폭발과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전기차 ESS 상용화 길 전고체전지 제조기술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폭발과 화재 위험은 없고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전고체전지는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현재 상용화한 이차전지는 가연성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 과열이나 과충전하면 팽창해 폭발할 위험이 있다.생기원 김호성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전고체전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사용해 폭발과 화재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 단위셀 여러2019-06-18 14:03:13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