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딜레마…지역경제 도움 안되는 기피시설?
韓 클라우드 경쟁력 위해 필요하지만…지역 상생 외면한다는 비판 직면
네이버가 경기도 용인시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려던 계획이 주민들의 반대로 전면 백지화됐다. 업계에서는 데이터센터가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위해 꼭 지어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주민들 입장에서는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기피시설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네이버는 지난 14일 ‘용인 공세 도시첨단산업단지 건립 추진 중단’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보냈다. 네이버는 공문에서 “공세동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을 회사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중단하게 됐다”며 "지역과 함께 하는 좋은 모델을 만들고자 했으나 진행하지 못하게 된 점을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네이버 측은 "비록 사업이 중단됐지만 앞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협력모델을 고민하고 만들어 보겠다"고 전했다.
◆韓 클라우드 경쟁력 높이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네이버는 지난 2013년 강원도 춘천 데이터센터 ‘각’에 이어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국내 두 번째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었다.
데이터센터는 정보기술(IT) 기반의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시설로,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구축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네이버, 구글 등 국내·외 IT기업들은 경쟁적으로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에 뛰어들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서울과 부산에 통신사의 데이터센터를 임대하고 있고, 올해 부산에 대규모 자체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아마존웹서비스(AWS)도 MS와 마찬가지로 상면 임대하는 방식으로 3개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했고, 오라클과 구글도 국내 데이터센터 가동을 공식화한 상태다.
올해부터 금융과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본격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해외 기업들의 국내 데이터센터 마련 경쟁도 더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가트너에 따르면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올해 2조 3,427억 원으로 지난해 보다 약 20% 성장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용인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급증하는 데이터 수요에 대응하고 한국 클라우드 시장의 약 80%를 장악한 외국 기업에 대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용인 데이터센터 건립이 취소되며 사업 확장에 발목을 잡힌 모양새다.
◆상생 없는 데이터센터…첫 데이터센터 지어진 강원도는 '반발'
용인시 공세동 주민들은 네이버 데이터센터 건립의 반대 이유로 전자파와 오염물질을 들었지만, 실질적인 반대의 배경은 데이터센터가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기피시설이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데이터센터는 규모에 비해 고용 창출 효과가 작다. 데이터센터는 업무가 원격으로 이뤄지거나 자동화되어 있어 근무 인원이 얼마 되지 않는다. 상주 인원이 적다 보니 지역 상권에도 보탬이 되지 않는 편이다.
실제로 지난 2013년 네이버의 첫 데이터센터가 문을 연 강원도 지역도 네이버가 지방자치단체와의 상생할 책임을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원태경 강원도의회 의원은 지난 15일 자유발언문을 통해 "네이버가 춘천 데이터센터 준공 후 강당과 북카페를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회의실로 개방하겠고 약속했지만 국가 중요시설물이라는 이유로 일반인은 접근조차 할 수 없고 공개조차 안 하고 있다“며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지역상생은 외면한 채 그들만의 성(Castle)이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원 의원은 이어 “네이버는 지금이라도 글로벌 기업 이미지에 걸맞게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지역과 상생하고 지역경제 발전에 책임 있는 자세로 임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재미컴퍼니-빙고뮤직,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공동개발 추진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이 개발 중인 글로벌 음원 유통 플랫폼 ‘빙고뮤직’에 대한 공동개발과 서비스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KMS글로벌 빙고뮤직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Azure) 미디어 서비스 기반 글로벌 음원 플랫폼으로 오는 9월 서비스 론칭을 추진하고 있다.재미컴퍼니와 KMS글로벌은 공동개발을 통해 한국과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유럽과 북·남미, 중동 지역을 아우르는 글로벌 뮤직 서비스를 본격화한다.재미컴퍼니 관계자는 “빙고뮤직과 재2019-06-18 15:06:38김태환 기자
-
삼성SDS, ‘넥스레저 유니버셜’로 블록체인 융합·연결·클라우드 지원삼성SDS가 ‘넥스레저 유니버셜’ 플랫폼을 활용해 블록체인의 융합과 연결, 클라우드를 지원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하이퍼렛저와 이더리움 같은 이종 블록체인과 연결하고, 금융‧제조‧물류처럼 다양한 서비스를한 플랫폼에서 융합해 서비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원활한 개발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연결도 제공한다. 장기적으로는 넥스레저 유니버셜을 활용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육성하겠다는 의도다.삼성SDS가 18일 서울 잠실에 위치한 본사 마젠다홀에서 ‘블록체인 미디어데이&r2019-06-18 14:51:32김태환 기자
-
폭발과 화재 위험 없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전기차 ESS 상용화 길 전고체전지 제조기술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하 생기원)이 폭발과 화재 위험은 없고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바이폴라 구조의 전고체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전고체전지는 전지 내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액체에서 고체로 바꾼 차세대 이차전지다. 현재 상용화한 이차전지는 가연성 액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 과열이나 과충전하면 팽창해 폭발할 위험이 있다.생기원 김호성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전고체전지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소재를 사용해 폭발과 화재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또 단위셀 여러2019-06-18 14:03:13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