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라이엇게임즈, 해외 반출 희귀문화재 2점 환수
중화궁인과 백자이동궁명사각호 환수
'리그 오브 레전드'의 제작사 라이엇게임즈가 해외로 반출된 희귀문화재 2점을 환수해 우리 정부에 반환했다. 해외 게임사가 우리 문화재 복원에 앞장서고 있어, 이채롭다.
라이엇게임즈는 19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립고궁박물관과 함께 '우리 문화재, 고국의 품에 안기다 ?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중화궁인' 언론공개회를 진행했다.
'백자이동궁명사각호(白磁履洞宮銘四角壺)'는 조선 19세기에 왕실 및 관청용 도자기 제조장인 분원 관요에서 제작한 사각호다. 바닥면에 정조의 딸이자 순조의 누이인 숙선옹주(淑善翁主, 1793-1836)의 궁가로 추정되는 '이동궁(履洞宮)'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19세기 궁가에서 사용된 백자를 파악할 수 있는 희귀한 자료로 꼽힌다. 주로 기록으로만 볼 수 있었던 '이동궁'이 실물 자료로 확인되는 매우 드문 예로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중화궁인(重華宮印)'은 손잡이(인뉴, 印?)가 서수(상서로운 짐승)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고, 도장의 글씨는 전서와 해서가 혼용된 독특한 형태이다. 역사적인 가치가 큰 유물로 평가되며, 이에 관한 내용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좀 더 상세히 밝혀질 것이 기대된다.
이 두 점의 조선 왕실 유물은 지난 3월 각각 미국 뉴욕 경매에 출품된 것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발견해 라이엇 게임즈에서 후원한 '국외소재 문화재 환수기금'을 활용해 매입했다. 유물들은 향후 조선왕실유물 전문기관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및 보존할 예정이며 향후 연구 및 전시 등을 통해 소개 및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라이엇 게임즈는 이로서 2014년 '석가삼존도', 2018년 '효명세자빈 책봉 죽책', 2019년 4월 '척암선생문집 책판' 환수에 이어 4, 5번째 국외 소재 문화재 환수에 성공했다. 이는 라이엇 게임즈가 매년 한국 문화유산 보호 및 지원을 위한 기부금을 전달함으로써, 수 억 원 규모의 국외문화재 환수기금을 조성하고 시의적절하게 활용했기에 가능했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2012년 재단 설립 이후 환수된 국외문화재는 지난 4월 환수된 '척암선생문집 책판'을 포함해 총 23건, 373점이며 이 중 라이엇 게임즈가 2013년부터 지금까지 총 5건의 환수를 지원한 바 있다.
박준규 라이엇 게임즈 한국대표는 "이번에 높은 가치와 희소성을 지닌 조선 왕실 유물을 두 점이나 환수에 성공해 매우 뿌듯하다"며, "특히 올해 들어 벌써 세 점의 국외 소재 문화재를 환수하는 데 기여하는 등 라이엇 게임즈의 문화재 보호 및 지원 활동이 가속도를 내고 있는 점에서 보람을 느낀다"고 밝혔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라이엇게임즈, 해외 반출 희귀문화재 2점 환수'리그 오브 레전드'의 제작사 라이엇게임즈가 해외로 반출된 희귀문화재 2점을 환수해 우리 정부에 반환했다. 해외 게임사가 우리 문화재 복원에 앞장서고 있어, 이채롭다.라이엇게임즈는 19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립고궁박물관과 함께 '우리 문화재, 고국의 품에 안기다 ?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중화궁인' 언론공개회를 진행했다.'백자이동궁명사각호(白磁履洞宮銘四角壺)'는 조선 19세기에 왕실 및2019-06-20 09:03:17서정근 기자
-
"5G 속도 'LGU+가 1등"…경쟁사, "과장 광고로 소비자 기만 말라"[앵커멘트]LG유플러스가 통신3사 중 5G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대대적으로 광고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 주요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건데요. 경쟁사들은 조사방식, 결과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명재 기자입니다.[기사내용]LG유플러스가 일반 대리점에 붙여놓은 광고입니다.이동통신3사의 5G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역과 합정역, 광화문 등 서울 주요 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문구가 보입니다.LG유플러스 측은 외부 조사업체에게 용역을2019-06-20 08:58:37이명재 기자
-
5G+ 전략위원회 가동… 전략산업 추진계획 논의정부가 '5G+ 전략'을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관계부처 차관을 비롯해 이동통신사·스마트폰 제조사 CEO 등 민간위원 14명이 5G+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합니다.정부는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등 핵심서비스 개발을 활성화하는 한편 5G 단말기와 차량통신 분야의 수출 지원을 위한 시험&midd2019-06-20 08:54:04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