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엔비디아, 자율주행차 지원하는 슈퍼컴퓨터 ‘DGX 슈퍼POD’ 공개
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선두주자인 엔비디아가 자율주행자동차의 원활한 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슈퍼컴퓨터 ‘DGX 슈퍼POD’를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DGX 슈퍼POD는 96개의 엔비디아 DGX-2H 슈퍼컴퓨터와 멜라녹스(Mellanox) 인터커넥트(Interconnect) 기술로 3주만에 구축됐다.
특히 9.4 페타플롭의 처리 능력을 제공해 세계에서 22번째로 빠른 슈퍼컴퓨터로 등극했다. 이 시스템은 수많은 딥 뉴럴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 이하 DNN)을 훈련시킬 수 있다.
아울러 DGX슈퍼POD는 엔비디아 NV스위치(NVSwitch)와 멜라녹스 네트워크 패브릭(network fabric)과 상호연결된 1536개의 엔비디아 V100 텐서 코어(Tensor Core) GPU로 구동된다. 따라서 같은 크기의 슈퍼컴퓨터에 비해 탁월한 성능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자율주행차 1대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1테라바이트 수준이다. 만일 수년간 차량이 주행된다고 가정했을 때, 운전자는 페타바이트급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도로 법규에 따라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차량에서 작동하는 DNN에서 잠재적인 오류를 찾는데 사용되며 연속적인 루프(continuous loop)로 재훈련된다.
실제 엔비디아 DGX 시스템은 BMW, 콘티넨털, 포드, 제뉴이티와 같은 자동차업체 연구소에 채택됐다. 뿐만 아니라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후치필름을 포함한 기업에서도 DGX를 선택했다.
클레멘트 패러베트 엔비디아 AI 인프라 부문 부사장은 “AI 리더십은 컴퓨팅 인프라 리더십을 요구한다. 극한의 정확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뉴럴 네트워크를 수만번 재교육해야 하는 자율주행차 교육만큼 까다로운 AI 도전과제는 없다. 또한 DGX 슈퍼POD와 같이 대용량 처리 기능을 갖춘 대체 제품은 없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라이엇게임즈, 해외 반출 희귀문화재 2점 환수'리그 오브 레전드'의 제작사 라이엇게임즈가 해외로 반출된 희귀문화재 2점을 환수해 우리 정부에 반환했다. 해외 게임사가 우리 문화재 복원에 앞장서고 있어, 이채롭다.라이엇게임즈는 19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립고궁박물관과 함께 '우리 문화재, 고국의 품에 안기다 ?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중화궁인' 언론공개회를 진행했다.'백자이동궁명사각호(白磁履洞宮銘四角壺)'는 조선 19세기에 왕실 및2019-06-20 09:03:17서정근 기자
-
"5G 속도 'LGU+가 1등"…경쟁사, "과장 광고로 소비자 기만 말라"[앵커멘트]LG유플러스가 통신3사 중 5G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대대적으로 광고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 주요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건데요. 경쟁사들은 조사방식, 결과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명재 기자입니다.[기사내용]LG유플러스가 일반 대리점에 붙여놓은 광고입니다.이동통신3사의 5G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역과 합정역, 광화문 등 서울 주요 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문구가 보입니다.LG유플러스 측은 외부 조사업체에게 용역을2019-06-20 08:58:37이명재 기자
-
5G+ 전략위원회 가동… 전략산업 추진계획 논의정부가 '5G+ 전략'을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관계부처 차관을 비롯해 이동통신사·스마트폰 제조사 CEO 등 민간위원 14명이 5G+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합니다.정부는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등 핵심서비스 개발을 활성화하는 한편 5G 단말기와 차량통신 분야의 수출 지원을 위한 시험&midd2019-06-20 08:54:04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