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세계 슈퍼컴퓨터, 미국과 중국 선두 경쟁 치열, 한국 15위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는 슈퍼컴퓨터 성능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슈퍼컴퓨팅 컨퍼런스(ISC High Performance 이하 ISC)’가 16일(현지시간)부터 5일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에서 개최됐다.
ISC는 17일(현지 시간) 세계 최고 슈퍼컴퓨터 탑500을 발표했다. ISC에서 발표한 탑500 순위를 살펴보면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 서밋(Summit)이 작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올해 실측 성능을 향상시켜 재등록한 서밋의 실측성능은 148페타플롭스(PF)로 1초에 148x1000조번 연산이 가능하다. 2위는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의 시에라(Sierra), 3위는 중국 선웨이 타이후라이트(Sunway TaihuLight) 순으로 작년에 이어 그대로 순위를 유지했다.
한국의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은 15위를 차지했다. 누리온은 연산 속도가 25.7페타플롭스(PF), 계산노드는 8437개다. 1PF는 1초에 1000조번 연산이 가능한 수준이며, 70억명이 420년 걸려 마칠 계산을 1시간 만에 끝낼 수 있다.
또 기상청이 보유한 누리와 미리가 각각 99위와 100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5대(국가별 순위 10위) 슈퍼컴퓨터가 탑500 순위를 기록하며 슈퍼컴퓨터 강국과 큰 격차를 보였다.
이번 탑500에서 미국은 전체 성능, 중국은 수량에서 압도하면서 미국과 중국이 슈퍼컴퓨터 분야 2강 체제를 형성했다. 성능은 미국이 38.5%, 중국이 29.9%를 차지하며, 합해서 70% 가량을 차지했다. 수량에서는 중국이 219대(43.8%)를 보유해, 2위 미국 116대(23.2%)를 따돌렸다.
특히 지난해 말에서 430위 수준의 1페타플롭스(PF) 미만 시스템들이 올해는 탑500에서 사라지며 모든 시스템이 페타플롭스(PF)급이 된 첫 해로, 세계적으로 대규모 시스템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슈퍼컴퓨터 분야 주도권을 두고 미국과 중국의 각축전이 지속될 전망이다. 두 나라는 페타플롭스를 넘어 페타보다 1000배 빠른 엑사플롭스급 슈퍼컴퓨터를 2~3년 내에 선보일 예정이다.
KISTI 홍태영 슈퍼컴퓨팅인프라센터장은 “슈퍼컴퓨터의 활용을 통한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미국, 유럽,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싱가포르, 대만 등 후발주자들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며 “이 같은 경쟁 체제는 HPC+AI 융합 트렌드와 더불어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ISC에 참가해 국가 슈퍼컴퓨팅과 활용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국제적 슈퍼컴퓨팅 인지도 향상과 글로벌 기업, 연구소와 협력 등 공동연구를 도모하고 있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라이엇게임즈, 해외 반출 희귀문화재 2점 환수'리그 오브 레전드'의 제작사 라이엇게임즈가 해외로 반출된 희귀문화재 2점을 환수해 우리 정부에 반환했다. 해외 게임사가 우리 문화재 복원에 앞장서고 있어, 이채롭다.라이엇게임즈는 19일 서울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국립고궁박물관과 함께 '우리 문화재, 고국의 품에 안기다 ? '백자이동궁명사각호'와 '중화궁인' 언론공개회를 진행했다.'백자이동궁명사각호(白磁履洞宮銘四角壺)'는 조선 19세기에 왕실 및2019-06-20 09:03:17서정근 기자
-
"5G 속도 'LGU+가 1등"…경쟁사, "과장 광고로 소비자 기만 말라"[앵커멘트]LG유플러스가 통신3사 중 5G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대대적으로 광고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 주요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건데요. 경쟁사들은 조사방식, 결과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명재 기자입니다.[기사내용]LG유플러스가 일반 대리점에 붙여놓은 광고입니다.이동통신3사의 5G 속도를 측정한 결과 서울역과 합정역, 광화문 등 서울 주요 지역 50곳 중 40곳에서 1등을 했다는 문구가 보입니다.LG유플러스 측은 외부 조사업체에게 용역을2019-06-20 08:58:37이명재 기자
-
5G+ 전략위원회 가동… 전략산업 추진계획 논의정부가 '5G+ 전략'을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김태유 서울대 명예교수가 공동위원장을 맡았으며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관계부처 차관을 비롯해 이동통신사·스마트폰 제조사 CEO 등 민간위원 14명이 5G+ 전략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합니다.정부는 실감콘텐츠, 자율주행차 등 핵심서비스 개발을 활성화하는 한편 5G 단말기와 차량통신 분야의 수출 지원을 위한 시험&midd2019-06-20 08:54:04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