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차세대 입는 히터 개발…나노물질 맥신 기반의 기능성 히터
추위에 약한 사람들에게 필요한 획기적인 옷이 등장할 전망이다. 국내 연구진이 옷을 따뜻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차세대 웨어러블 히터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구종민 센터장과 연세대 나노고분자연구실 박철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 신물질인 맥신(MXene)을 이용해 유연하고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차세대 투명 웨어러블 히터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전기 히터는 공간 가열, 자동차와 빌딩 서리 제거, 의료 기기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연 전자 소자나 헬스 케어 분야에 응용할 수 있는 기능성 히터가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투명성과 기계적 유연성이 필수다.
이 같은 특성을 만족하는 차세대 히터를 개발하려고 연구진들은 금속 나노와이어, 그래핀,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키는 방식을 중점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러나 금속 나노와이어는 비싼 재료값, 큰 밀도, 기계적 유연성 부족, 제한적인 공정이 단점으로 지적됐다. 또 그래핀은 대면적으로 제작하기 힘든 공정 문제가 단점이다. 산화 그래핀을 환원시키는 방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전도도와 공정에서 유해물질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KIST 구종민 센터장은 금속과 같은 수준의 높은 전기 전도도(106S/m)를 갖는 2차원 나노재료인 맥신을 개발했다. 이 맥신 소재(Ti3C2)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표면에 많은 친수성 그룹(-OH)을 포함해 용액공정을 할 수 있다. KIST 구종민 센터장 연구팀은 이런 맥신을 활용해 히터를 개발해 다른 후보물질이 해결하지 못하던 문제를 해결했다.
KIST와 연세대 공동연구진은 다양한 기판에 수십 나노 수준으로 얇은 2차원 박막을 구현했다. 맥신의 우수한 전기적 성질을 활용해 빠른 응답속도와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히터를 개발했다. 또 고분자 기판에 박막을 만들어 유연하면서도 큰 면적을 갖는 히터 소자에 적용할 수 있음도 보였다. 나아가 다양한 섬유 위에 맥신 히터를 제작해 바느질과 직조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입는 방식인 웨어러블 히터를 제시했다.
KIST 구종민 센터장은 “우수한 광 투과도를 가지는 맥신 히터를 세계 최초로 제시하고,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고분자 섬유위에 코팅해 차세대 웨어러블 히터를 개발했다”며 “장기적으로 차세대 2D 전기 소자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인 ‘에이씨에스 나노’ 최신호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넥슨, 로얄크로우 신작에 '러브콜'...FPS 장르 '르네상스' 오나한 때 인기를 누리다 사양길로 접어든 1인칭 슈팅(FPS) 장르의 PC 온라인게임이 다시 조명받고 있다.'배틀그라운드'의 흥행에 이어 각 게임사들이 모바일 게임 편중을 탈피하기 위해 PC FPS 장르 신작 개발에 속속 나서고 있고, 이중 일부는 IB업계의 주목을 받고 게임 판권 시장에서도 부각되는 양상이다.1일 업계에 따르면 넥슨이 최근 로얄크로우가 개발중인 1인칭 슈팅게임 '프로젝트 로얄크로우'의 판권 확보를 위해 로얄크로우와 접촉한 것으로 나타났다.관련한 소식통은 "'서든어2019-07-02 09:05:40서정근 기자
-
국내 양자암호통신기술, ITU 국제표준으로 채택우리나라가 개발한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세계 최초로 ITU 국제표준에 채택됐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ITU-T SG13 국제회의에서 한국이 주도해 만든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권고안이 국제 표준으로 예비승인됐다고 1일 밝혔다.이는 ITU 내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채택된 표준이며, 이후 회원국간 회람을 거쳐 반대의견이 없을 경우 최종 채택될 전망이다.승인된 표준은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계층 모델, 기능적 구성요소 등을 정의한 것으로 지난 20182019-07-02 09:01:42이명재 기자
-
[MIT테크리뷰] 더 정확해지는 탄소 배출 환경 비용, 지구온난화 해결 돕는다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피해가세계 경제에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그런데각 나라들은 나빠지는 환경에 따라 감당해야 하는비용과 이를 개선하는데필요한 투자비용이얼마인지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애매한 상황에 처해 있다.다행히 최근에발표된 '탄소의 사회적 비용'에 관한 연구를중심으로 점차 환경이 미치는사회적 비용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있는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현재 탄소의 사회적 비용은1톤의 이산화탄소가 하늘로 방출될 때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의 형태로 그 피해를 설명한다.최근 MIT테크놀로지리2019-07-01 15:55:31김지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