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엔비디아, “GPU 기반 서버가 CPU보다 더 비용 절감 할 수 있다”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2019…상대적으로 더 높은 성능 구현
인공지능(AI) 컴퓨팅 기술기업 엔비디아가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반 컴퓨팅 서버와 시스템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반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AI 연산 성능을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연산을 병렬 처리해 AI 연산을 더욱 효율적으로 처리하면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 제품으로 다수 CPU를 대체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엔비디아는 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2019’를 개최하고,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솔루션을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마크 해밀턴 엔비디아 솔루션 아키텍처 및 엔지니어링 부사장은 “GPU는 서버에 추가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어 비싸다고 생각한다”면서 “하지만 GPU를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절감”이라고 밝혔다.
마크 해밀턴 부사장은 “예를 들어 엔비디아의 DGX 슈퍼카드와 맞먹는 수준의 성능을 구현하려고 CPU로 서버를 설치한다면, CPU를 연결하는 케이블 비용만으로 카드 비용에 맞먹는다”면서 “CPU 연산능력이 GPU에 비해 떨어져 더 많은 CPU가 필요하고, 이는 결국 비용상승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AI 분야에서는 엔지니어 양성 문제가 항상 존재하는데, 효율적으로 서버를 설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엔지니어가 많은 업무 볼 수 있어 인건비 절감 효과도 있다”면서 "실제 삼성전자에서 엔비디아의 DGX 서버를 6개 도입했는데, 일반 OEM 서버보다 효과가 컸다고 전해왔다”고 말했다.
마크 해밀턴은 “CPU 분야에서는 ‘무어의 법칙(성능이 매년 2배로 증가)’이 둔화되고 있다”면서 “엔비디아는 20년전 CPU와 GPU를 함께 사용하도록 해 주는 아키텍처 쿠다(cuda)를 개발한 이후 성능 향상에 대한 어려운 난제들을 해결해왔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사 GPU서버와 기존 CPU서버 속도를 비교해본 결과 GPU서버가 무려 25배 빨랐으며, 올해는 40배 빠른 속도를 기록했다.
한편 엔비디아 AI 컨퍼런스 2019에서는 최신 AI와 딥러닝 기술 현황과 다양한 산업 사례를 소개하는 다양한 세션이 진행됐다.
오전에는 유응준 엔비디아 코리아 엔터프라이즈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마크 해밀턴 엔비디아의 솔루션 아키텍처 및 엔지니어링 부사장, 심은수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AI&소프트웨어 연구센터장이 각각 기조연설을 발표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아카마이, “제로 트러스트 모델로 클라우드·블록체인 보안성 확보”아카마이가 클라우드와 블록체인의 보안성을 확보하는데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클라우드를 도입하면서 회사 밖 어디에서든 접속할 수 있어 최종 끝 단계 접속자와 디바이스 같은 엣지(edge) 단에서의 보안성 확보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로 트러스트는 데이터 경로를 보호하고 신원 관리 시스템을 강화해 원격으로도 안전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3일 아카마이는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클라우드와 블록체인 분야에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2019-07-03 14:37:00김태환 기자
-
[테크엠 영상] 천문연 2019년 7월 3일 개기일식 사진 공개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이 3일 새벽(한국시간)에 있었던 개기일식을 관측해 이를공개했다.이번 개기일식은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었고, 남태평양과 남아메리카 지역에서만 관측이 가능했다. 이에 천문연 원정관측팀은 아르헨티나 산 후앙 주 라스 플로레스(San Juan, Las Flores) 지역에서 관측 연구를 수행했다.개기일식 시작 시간은 현지시간으로 2일 17시 39분 41초(한국시간으로 3일 05시 39분 41초)이었다.개기일식은 2분 27초동안 진행됐다.천문연은 전영범 박사를 대표로 총 6명이 원정관측에 나섰으며, 태양 코로2019-07-03 10:33:57박응서 기자
-
2019 빅콘테스트, 국내 최고 빅데이터 인재 발굴…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로 청년 취업기회까지한국정보화진흥원(NIA)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가 데이터 활용 활성화와 우수한 인재 발굴을 위해 2019 빅콘테스트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2013년부터 진행해 올해 7회째를 맞이하는 2019 빅콘테스트는 국내 최고의 데이터 분석 경진대회로 지난해에는 1200여 팀이 참가했다. 참가자들은 실제 기업 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 분석능력을 겨룬다.이번 대회는 통신과 금융, 환경기상, 유통, 소셜, 게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데이터를 역대 최대로 제공해 참가자들의 도전에 따라 사회적 문제 해결과 동시에 새로운 비즈2019-07-03 10:12:51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