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겹악재' 넷마블, 주가 최저점 회귀...주가부양 '공든탑' 무너지다
모멘텀 소멸로 주가 하락....시가총액 8조원 대로 감소
한 때 17조원을 넘었던 넷마블의 시가총액이 최고점 대비 절반으로 감소했다. 넥슨 인수 실패, 기대치를 밑돈 'BTS 월드' 초반 매출, 중국 시장 진출 불확실성 등을 시장이 악재로 인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사주 대량 매입, 넥슨 인수 추진 등 주가부양을 위해 쏳은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가는 양상인데, 사업 본연의 성과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지 눈길을 모은다.
넷마블은 3일 주당 가격 10만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시가총액은 8조5693억원이다. 2017년 12월 28일 기록한 최고점(주당 20만원)의 절반규모로 하락했다.
넷마블은 엔씨소프트와 함께 국내 게임 대장주 '투톱'으로 꼽혀왔다. 두 회사 모두 시가총액이 10조원 규모에서 등락을 거듭해 왔는데, 최근 넷마블이 추진해온 넥슨 인수가 좌절되면서 양사간 격차가 벌어지는 양상이다.
넷마블의 시가총액은 2018년 연중 하락세를 거듭했다. 이익규모가 감소하며 기대치가 낮아진 때문이다. 신작 출시 일정 지연 등으로 한 때 주당 가격이 9만원 선까지 하락하자 지난해 연말부터 20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에 나서며 주가부양에 나섰다.
넷마블은 넥슨 인수 추진에 나선 주체 중 유일하게 인수전 참여를 외부에 공표하며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때맞춰 주가도 완만한 상승세로 돌아섰고, '킹오브 파이터 올스타', '일곱개의 대죄'가 연속 흥행에 성공하자 상승곡선도 점차 가팔라졌다. 'BTS 월드' 흥행 기대감이 더해지며 주당 가격이 한 때 14만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일각에선 "'BTS 월드'만 흥행하면 넥슨 인수 없이도 향후 활로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넥슨이 매각 협상 파트너들과 협상을 종결하고 'BTS월드'의 초반 흥행이 기대치에 못 미치자 주가가 급격히 하락, 역대 최저점에 근접하기에 이르렀다.
미-중 양국간의 갈등이 화웨이 통신장비를 매개로 한국에도 영향을 미치자, 한국 콘텐츠의 중국 진출 봉쇄 지속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이날 한국투자증권은 "넷마블의 가치에 대해 냉정한 평가가 필요하다"며 투자의견 '중립'을 제시했다. 하나투자증권은 이날 CJ ENM의 목표주가를 9% 하향한 25만원으로 조정하며 "CJ ENM이 보유한 넷마블 지분 가치가 하락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넥슨 인수에 대한 기대감, 신작 모멘텀이 소멸됐다곤 하나 너무 박한 평가"라는 반응도 나온다. 넷마블이 '블레이드앤소울', '킹오브 파이터 올스타', '일곱개의 대죄'를 연속 흥행시키며 국내 업체 중 유일하게 신규 성장 동력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BTS 월드'도 초반 성과가 세간의 예측보다 낮았으나 서서히 매출이 증가하며 가능성을 엿보이고 있다는 평도 나온다. 이 게임은 이날 기준 구글플레이 매출 16위에 올랐다. '슬로우 스타터'이긴 하나 실적 개선에 일부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가부양의 관점에선 '원점'으로 돌아간 양상인데, 넷마블은 신규 흥행작 추가 배출로 '사업 본연의 성과'를 다시금 입증해야 할 상황을 맞았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경제국빈' 손정의, 재계 총수·이해진·김택진과 네트워킹손정의 회장이 4일 전격 방한,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접견한데 이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우리 재계를 대표하는 젊은 경영자들과 회동을 이어가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형식적으로는 민간 기업인이 우리 대통령에게 접견 신청을 하고 정부가 이를 수락한 모양새이나, 손 회장의 무게감과 최근 우리 경제를 둘러싼 제반 상황, 접견 대상자들의 면면을 감안하면 '경제 국빈'으로 대접받는 모양새다.손정의 회장은 글로벌 IT시장을 대표하는 큰 손으로 꼽힌다. 재일동포 3세로 1981년 24세 나이에 창업한 소프트뱅크를2019-07-05 09:01:33서정근 기자
-
방통위-과기정통부, ICT 거버넌스 재편 놓고 '기싸움'[앵커멘트]ICT 관련 정부조직은 정권이 바뀔때마다 급격한 부침을 겪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로 ICT 거버넌스가 분리되고 나서 효율적인 행정이 이뤄지지 않아 개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문재인 정부 출범 후 과기정통부와 방통위는 ICT 거버넌스 재편 여부를 두고 신경전을 벌여왔습니다.방통위 인사들은 두 부처가 분할한 방송통신정책 기능을 방통위로 단일화하고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 전담 부처로 회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과기정통부는 이를 일축2019-07-05 08:57:19서정근 기자
-
[단독] 'IHQ·NEW'에 군침 흘리는 SKT…콘텐츠 확보 위한 '물밑작업'[앵커멘트]IPTV와 OTT 등 미디어 사업에 주력하는 SK텔레콤의 고민은 바로 양질의 콘텐츠 확보입니다. 그래서 드라마 제작업체인 IHQ와 영화 배급사인 NEW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요, 제작 역량을 충분히 갖춘데다 한류를 통한 해외 수출도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이명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기사내용]미디어 사업에 주력하는 SK텔레콤이 콘텐츠 늘리기에 안간힘을 쓰는 가운데 콘텐츠 제작업체 인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현재 주의깊게 보는 건 콘텐츠 제작사인 IHQ와 영화 배급사 NEW입니다.케이블2019-07-05 08:52:09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