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한국OTT포럼 출범..."규제보다 산업 활성화 집중해야"
학계, 정계, 유관 기업관계자 등 30여명 참여...성동규 중앙대 교수 초대 회장 맡아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성장을 조력하는 전문 연구 단체 한국OTT포럼이 16일 출범했다. 넷플릭스 열풍이 전체 유료방송 시장 지평까지 바꿔놓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내 OTT 산업현황을 진단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OTT포럼은 1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창립식과 기념 세미나를 진행했다. 초대 포럼 회장은 성동규 중앙대 교수가 맡았다. 학계, 정계, 유관 기업관계자 등 30여명의 회원을 중심으로 출발했다.
성동규 교수는 "OTT 등장으로 TV가 위축되고 있고, 5년전부터 미국은 콘텐츠 플랫폼, 유료방송 사업자 중심으로 인수합병(M&A)이 활발했지만 국내는 이제 첫걸음을 뗐다"며 "OTT 산업 자체 연구에 대한 제한적 접근이 아니라 OTT 도입 이후 전개되는 시장상황변화, 이용자 보호, 국내 환경분석, 정책을 포괄하는 개방적 연구모임으로 포럼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성동규 교수는 "연구모임이 활발해지다 보면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협회가 만들어질 여지도 충분하다"고도 했다.
최근 국회와 정부 일각에서 진행되는 OTT 규제 논의와 관련해선 "규제보다 어떻게 산업을 활성화시킬 것인가에 먼저 집중해야 한다"면서 "시장 활성화 진행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을 보고 규제 도입 논의를 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했다.
또 "학계와 산업계, 국회 등 관련 생태계가 힘을 모아 OTT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단체를 결성하는 것은 우리나라가 최초인만큼 글로벌 대표 OTT 연구단체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타다, 제도권 들어왔지만…스타트업계 "진입장벽 더 높아져"[앵커멘트]택시업계와의 갈등을 빚어온 타다와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들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옵니다. 일정한 비용을 내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서는 운송 사업을 허가하는 방식인데요. 이에 대한 택시업계와 플랫폼 업체간의 온도차가 극명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타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도 일정한 비용을 내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정부는 이 비용으로 택시 면허권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인데, 사실상 신규 모빌리티 사업자가 기존 택시 면허 비용을 대신 내는 셈입니다.[2019-07-18 08:46:33박수연 기자
-
"STO로 일반인도 유망 스타트업 초기 투자 가능하다"STO(증권형 토큰발행)를 통해 일반투자자들도 벤처캐피털(VC)의 투자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VC들이 투자한 회사나 프로젝트에서 엑싯하기 위해 10~12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VC들도 투자자산을 증권형 토큰화해 일반인 투자자에 공개하는 것을 반길 것이라는 논리다.VNX Exchange 주최로 1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룩셈부르크-한국 디지털 에셋 서밋(Luxembourg ? South Korea Digital Asset Summit)’에서는 이2019-07-18 08:44:01김예람 기자
-
SK텔레콤-서강대, 5G 시대 AI 인재 양성 나선다SK텔레콤과 서강대가 인공지능(AI) 전문인재를 육성하려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측은 ▲온라인 AI 커리큘럼 개설 ▲산학 공동 연구 추진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SK텔레콤과 서강대는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다양한 학과 학생들이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올해 2학기부터AI 연계전공 및 컴퓨터공학과 각 학부 정규 과정과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 온라인 과목을 개설한다.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SK텔레콤의AI 스피커 ‘누구’ 기반 기술을2019-07-17 11:06:31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