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단독]'코인원' 오프라인 객장 폐쇄… '군살빼기' 나서는 암호화폐거래소
여의도 '코인원블록스' 문 닫아…올해 빗썸·코빗 이어 오프라인 객장 폐쇄 줄이어
암호화폐(가상화폐)거래소들이 오프라인 객장 문을 잇따라 닫으면서 군살빼기에 나서고 있다. 여의도에 위치한 코인원의 오프라인 객장 '코인원블록스’가 지난주 문을 닫았다. 불필요한 비용은 줄이면서 다른 사업에 주력하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원은 오프라인 객장인 코인원블록스를 지난 12일 폐쇄했다.
코인원블록스는 업계에서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공간으로 통했던 곳이었다. 추상적인 암호화폐를 실체화한 가상화폐 거래소의 오프라인 객장이 들어진 것은 전세계에서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코인원 관계자는 “앞으로 오프라인 객장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며 “객장 운영 비용 등을 정리해 주력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빗썸과 코빗도 올 들어 오프라인 객장 문을 연이어 닫은 바 있다.
빗썸은 올 들어 서울 광화문 객장과 부산의 고객센터객장을 없애고 서울 강남객장만 남기기로 했다. 온라인 서비스 강화와 오프라인 인입 고객 감소에 따라 시장 변화에 맞게 바꾸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빗썸 측은 “대부분의 고객들이 모바일 앱과 PC를 이용하고, 전화 및 메신저를 통한 상담이 보편화되면서 지역객장 효율화를 진행한다”고 안내했다.
코빗 또한 강남 객장을 올해 초에 폐쇄했다. 비용절감을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업비트는 두나무 본사가 위치한 강남권에 고객 라운지를 그대로 운영하고 있고, 폐쇄 계획은 없다. 업비트 라운지는 고객 직접 상담 공간 이외에도 자회사의 서비스 상담센터 기능도 하고 있다.
모바일과 온라인 중심 거래 환경에 맞는 상담체계 강화 차원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지난 하락장의 여파로 거래소들이 시장 변화에 맞게 경영 구조를 바꾸고 비용절감을 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지난 하락장 영향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며 “임대료 등의 부담이 컸기 때문에, 사업 운영에 큰 효력이 없는 객장 폐쇄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말했다.
김예람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타다, 제도권 들어왔지만…스타트업계 "진입장벽 더 높아져"[앵커멘트]택시업계와의 갈등을 빚어온 타다와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들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옵니다. 일정한 비용을 내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서는 운송 사업을 허가하는 방식인데요. 이에 대한 택시업계와 플랫폼 업체간의 온도차가 극명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타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도 일정한 비용을 내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정부는 이 비용으로 택시 면허권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인데, 사실상 신규 모빌리티 사업자가 기존 택시 면허 비용을 대신 내는 셈입니다.[2019-07-18 08:46:33박수연 기자
-
"STO로 일반인도 유망 스타트업 초기 투자 가능하다"STO(증권형 토큰발행)를 통해 일반투자자들도 벤처캐피털(VC)의 투자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VC들이 투자한 회사나 프로젝트에서 엑싯하기 위해 10~12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VC들도 투자자산을 증권형 토큰화해 일반인 투자자에 공개하는 것을 반길 것이라는 논리다.VNX Exchange 주최로 1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룩셈부르크-한국 디지털 에셋 서밋(Luxembourg ? South Korea Digital Asset Summit)’에서는 이2019-07-18 08:44:01김예람 기자
-
SK텔레콤-서강대, 5G 시대 AI 인재 양성 나선다SK텔레콤과 서강대가 인공지능(AI) 전문인재를 육성하려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측은 ▲온라인 AI 커리큘럼 개설 ▲산학 공동 연구 추진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SK텔레콤과 서강대는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다양한 학과 학생들이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올해 2학기부터AI 연계전공 및 컴퓨터공학과 각 학부 정규 과정과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 온라인 과목을 개설한다.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SK텔레콤의AI 스피커 ‘누구’ 기반 기술을2019-07-17 11:06:31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