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초소형 드론 추적하는 ‘AI 레이더’ 기술 개발…드론 탐지 기술 국산화
국내 연구진이 초소형 드론을 추적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협동로봇융합연구센터 오대건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캘리포니아 주립대 김영욱 교수 연구팀과 함께 3㎞ 이상 떨어진 초소형 드론도 식별할 수 있는 ‘드론 탐지 레이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더 탐지기술로 관련 산업 발전과 국방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14년 파주에서 북한의 드론을 발견하면서 국방부는 해외 기술을 바탕으로 한 드론 탐지 레이더를 도입했다. 지난해부터 ‘드론 부대’를 창설해 관련 인력을 양성하며 드론을 활용한 전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레이더 탐지 관련 기술이 부족해 레이더 시스템은 이스라엘 라다와 영국 브라이터의 드론 탐지 레이더 같이 해외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라다의 레이더 성능은 세계에서도 독보적이며, 최대 3㎞ 이상 떨어진 드론을 탐지할 수 있다.
DGIST 연구팀은 2016년 국내 최초로 200m 이상 탐지 가능한 레이더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이번에는 순수 국내 기술로 3km 이상 떨어져 비행하는 초소형 팬텀 드론(55cm x 55cm x 40cm)을 알아차리는 ‘드론 탐지 레이더 시스템’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최대 탐지 거리 향상을 위한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 기술과 드론의 정확한 위치추정을 위한 초고해상도 레이더 신호처리 기술을 결합해, 3km 이상 떨어진 드론을 탐지하는데 성공했다.
또 연구팀은 차세대 딥러닝 AI 알고리즘으로 주목받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기반 레이더 인지 기술을 개발해 식별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AI는 학습 데이터가 많을수록 인식률이 높아지는데, 이 알고리즘은 적은 데이터로도 이동하는 표적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게다가 개발 과정에서 레이더 시스템 내부의 송신부, 수신부, 안테나, 신호처리플랫폼 같은 하드웨어 부품을 국내 중소기업들과 공동 개발해, 기술 자립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오대건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국내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독자적인 레이더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에 집중한 결과”라며 “세계시장에서 국내 레이더 기술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AI레이더 식별기술 부분은 레이더분야 세계적 학술지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Letters 6월 18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박응서 테크엠 기자 gopoong@techm.kr
-
타다, 제도권 들어왔지만…스타트업계 "진입장벽 더 높아져"[앵커멘트]택시업계와의 갈등을 빚어온 타다와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들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옵니다. 일정한 비용을 내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서는 운송 사업을 허가하는 방식인데요. 이에 대한 택시업계와 플랫폼 업체간의 온도차가 극명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타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도 일정한 비용을 내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정부는 이 비용으로 택시 면허권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인데, 사실상 신규 모빌리티 사업자가 기존 택시 면허 비용을 대신 내는 셈입니다.[2019-07-18 08:46:33박수연 기자
-
"STO로 일반인도 유망 스타트업 초기 투자 가능하다"STO(증권형 토큰발행)를 통해 일반투자자들도 벤처캐피털(VC)의 투자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VC들이 투자한 회사나 프로젝트에서 엑싯하기 위해 10~12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VC들도 투자자산을 증권형 토큰화해 일반인 투자자에 공개하는 것을 반길 것이라는 논리다.VNX Exchange 주최로 1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룩셈부르크-한국 디지털 에셋 서밋(Luxembourg ? South Korea Digital Asset Summit)’에서는 이2019-07-18 08:44:01김예람 기자
-
SK텔레콤-서강대, 5G 시대 AI 인재 양성 나선다SK텔레콤과 서강대가 인공지능(AI) 전문인재를 육성하려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측은 ▲온라인 AI 커리큘럼 개설 ▲산학 공동 연구 추진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SK텔레콤과 서강대는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다양한 학과 학생들이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올해 2학기부터AI 연계전공 및 컴퓨터공학과 각 학부 정규 과정과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 온라인 과목을 개설한다.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SK텔레콤의AI 스피커 ‘누구’ 기반 기술을2019-07-17 11:06:31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