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에이치닥테크놀로지-스트롱블록, BaaS 서비스 공동 개발 추진
블록체인 기술 기업 에이치닥테크놀로지(Hdac)가 기업용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 기업 스트롱블록(StrongBlock)과 블록체인 기반 기업용 솔루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6일 에이치닥에 따르면 업무 협약식은 정대선 에이치닥 설립자, 데이비드 모스(David Moss) 스트롱블록 CEO를 비롯한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캘리포니아 포스터시티에서 진행됐다.
스트롱블록은 이오스(EOS)를 개발한 블록원(Block.one) 출신의 기술진들이 모여 설립한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기업이다. 스트롱블록은 프로젝트 별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고, 구현이 쉬운 자사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통해 계정 관리, 보안, 거버넌스 등 기업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과 성능을 제공한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에 따라 에이치닥과 스트롱블록은 블록체인 기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하는데 협력하고, 앞으로 양사가 주도하는 B2B 프로젝트 중 일부를 선별해 서비스 개발과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를 토대로 앞으로 3년간 BaaS(Blockchain-as-a-Service, 서비스형 블록체인) 산업의 상용화를 함께 추진한다.
정대선 현대BS&C 사장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더욱 다양한 파트너에 에이치닥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며 “에이치닥은 고객들이 자체적인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BaaS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타다, 제도권 들어왔지만…스타트업계 "진입장벽 더 높아져"[앵커멘트]택시업계와의 갈등을 빚어온 타다와 같은 모빌리티 플랫폼 사업자들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옵니다. 일정한 비용을 내는 플랫폼 사업자에 대해서는 운송 사업을 허가하는 방식인데요. 이에 대한 택시업계와 플랫폼 업체간의 온도차가 극명합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사내용]타다와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도 일정한 비용을 내면 합법적인 틀 안에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정부는 이 비용으로 택시 면허권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인데, 사실상 신규 모빌리티 사업자가 기존 택시 면허 비용을 대신 내는 셈입니다.[2019-07-18 08:46:33박수연 기자
-
"STO로 일반인도 유망 스타트업 초기 투자 가능하다"STO(증권형 토큰발행)를 통해 일반투자자들도 벤처캐피털(VC)의 투자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VC들이 투자한 회사나 프로젝트에서 엑싯하기 위해 10~12년이라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VC들도 투자자산을 증권형 토큰화해 일반인 투자자에 공개하는 것을 반길 것이라는 논리다.VNX Exchange 주최로 17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룩셈부르크-한국 디지털 에셋 서밋(Luxembourg ? South Korea Digital Asset Summit)’에서는 이2019-07-18 08:44:01김예람 기자
-
SK텔레콤-서강대, 5G 시대 AI 인재 양성 나선다SK텔레콤과 서강대가 인공지능(AI) 전문인재를 육성하려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17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측은 ▲온라인 AI 커리큘럼 개설 ▲산학 공동 연구 추진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SK텔레콤과 서강대는 학부에서 대학원까지 다양한 학과 학생들이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올해 2학기부터AI 연계전공 및 컴퓨터공학과 각 학부 정규 과정과 기술경영전문대학원에 온라인 과목을 개설한다.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SK텔레콤의AI 스피커 ‘누구’ 기반 기술을2019-07-17 11:06:31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