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 역할에만 그치기로 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일각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SK측 주도로 외부 투자를 유치하고 있고, 콘텐츠 제작과 배급에 대한 권한은 지상파에 주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SK텔레콤이 옥수수를 푹과 통합시키면서 가져갈 혜택은 ‘새로운 OTT 운영사’로 도약하는 수준이 아니라, 향후 웨이브를 IPO(기업공개) 시키면서 지분을 확보하는 재무적 성과만 남은 것 아니냐는 것입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에서 웨이브로 이동한 인력은 재무, 기획&운영, 마케팅 최고 책임자 등 총 10여명 정도입니다. SK브로드밴드의 ‘옥수수’에서 외주제작사 관리 등 보직을 맡았던 인력들은 이동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가 해외 재무적투자자(FI) 유치와 통신사업자 및 IPTV와 통합 OTT 연계 서비스 등만 맡게 될 것이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또 SK그룹은 SK증권PE와 미래에셋벤처투자로부터 웨이브에 2,000억원을 투자받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동안 SK텔레콤 주도로 이들과 같은 FI 유치를 물색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여기에 시장에서는 SK그룹 측은 FI의 엑시트(투자금 회수) 통로를 마련하기 위해 5년 내 기업공개(IPO) 조건을 보장한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통합법인 출범 시 9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 30%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후 유료 가입자 수가 272만명, 372만명, 472만명으로 증가할 때마다 주식 5%를 매수할 수 있는 주식매수선택권(콜옵션)이 부여됩니다. 즉, 유료가입자 수가 472만명 이상으로 증가하면 최대 45%의 웨이브 주식을 보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만일 5년 내 웨이브가 상장을 한다면, SK텔레콤은 30~45%의 지분을 보유하면서 재무 성과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오랜 기간 콘텐츠 제작 전문성을 쌓아온 지상파 3사에 콘텐츠 제작에 대한 전문성과 주도권을 일임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콘텐츠 배급권에 대해서도 SK 측은 주주로서 큰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상파가 1년에 2건씩 넷플릭스에 콘텐츠 배급 가능하다는 내부 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실제 오는 9월 방영될 SBS의 ‘배가본드’는 넷플릭스에 동시 배급될 예정입니다.
이는 OTT 연합군을 결성하겠다고 발표했을 당시 SK텔레콤이 밝혔던 “아시아의 넷플릭스로 키우겠다”는 포부에 비해 아쉬운 감이 있습니다. 아직 기업결합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상파의 콘텐츠 생산 전문성과 SK텔레콤의 기술력, 사업 추진 능력의 시너지를 발휘해 아시아의 넷플릭스로 도약할 발판을 만들 수 있기를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김예람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이효성 "방송·통신 업무, 두 부처 분담은 어불성설"… 과기정통부-방통위 역무분담 '불씨' 될까[앵커멘트]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함께 관할하던 통신 ·방송 정책을 한 부처가 맡아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논의를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통신· 방송정책을 두 부처가 나눠서 맡게 된 것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며 미래부를 신설하면서 부터입니다. 미래부의 후신 과기정통부가 통신 사전 규제를, 방통위는 사후 규제를 맡고 있습니다.방송정책도 유료방송은 과기정통부가 맡고, 지상파와 종편, 보도채널은 방통위가 관할합니다.이같은 이원화 구도를 깨고2019-07-24 09:00:30서정근 기자
-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r2019-07-24 08:55:45김예람 기자
-
'접고 붙이는 화면으로 게임을?'…폴더블·듀얼 스크린 초기 수요 이끌까[앵커멘트]스마트폰은 보통 21대 9의 화면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이 가장 익숙한데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접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화면비율에 적합한 게임들이 나오면서 젊은 게임유저들을 중심으로 폴더블,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한 학생들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화면이 두 개 달린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각각 게임화면과 조작패드로 나눠 쓰면서 게임의 집중도를 더 높였습니2019-07-23 09:08:31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