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카카오-네이버 '블록체인 대중화' 각축전…기업간 협업 강화
[앵커멘트]
네이버와 카카오가 가상화폐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블록체인 서비스 출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대기업과 손잡고 사용성을 개선해 진입장벽을 낮추며 상용화에 속도를 내는 모습입니다. 박수연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카카오의 자회사 그라운드X에서 만든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은 '블록체인 대중화(Mass Adoption)'를 앞세우고 있습니다.
음식, 뷰티, 콘텐츠, 보험 등 실생활에서 직접 쓰일 수 있는 보상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를 공개하고 내년 안에 '킬러 콘텐츠'를 선보이겠다는 목표입니다.
[한재선 / 그라운드X 대표 : 초당 3000~4000TPS를 구현해놓은 상태로 평균 1초안에 블록이 생성됩니다. 개발자·이용자 대상으로 블라인드 테스트를 진행해 사용성을 개선했습니다.]
넷마블, 셀트리온, LG그룹 계열사 등 대형기업들도 '거버넌스 카운슬'로 합류해 플랫폼 운영을 넘어서 클레이튼 기반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사업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시킬 예정입니다.
클레이튼 기반 암호화폐를 관리하는 지갑도 이달 내 선보일 계획입니다.
네이버 역시 지난해부터 자회사 라인을 통해 블록체인 플랫폼 '링크체인'을 구축하고 자체 암호화폐 링크를 발행했습니다.
링크체인은 외부 개발자들이나 개인도 링크체인 위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링크 토큰을 기축 통화로 하는 보상체계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이와 함께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박스'와 자체 디앱을 선보이며 플랫폼을 넓히고 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일반 사용자와 접점을 넓혀 인지도를 끌어올리고 사용성을 개선해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합니다.
최근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리브라'를 출시하겠다고 밝히며 시장의 경쟁 열기가 뜨거워진 가운데 기업간 협업을 강화한 블록체인 서비스 상용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수연(tout@mtn.co.kr)입니다.
박수연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이효성 "방송·통신 업무, 두 부처 분담은 어불성설"… 과기정통부-방통위 역무분담 '불씨' 될까[앵커멘트]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함께 관할하던 통신 ·방송 정책을 한 부처가 맡아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논의를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통신· 방송정책을 두 부처가 나눠서 맡게 된 것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며 미래부를 신설하면서 부터입니다. 미래부의 후신 과기정통부가 통신 사전 규제를, 방통위는 사후 규제를 맡고 있습니다.방송정책도 유료방송은 과기정통부가 맡고, 지상파와 종편, 보도채널은 방통위가 관할합니다.이같은 이원화 구도를 깨고2019-07-24 09:00:30서정근 기자
-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r2019-07-24 08:55:45김예람 기자
-
'접고 붙이는 화면으로 게임을?'…폴더블·듀얼 스크린 초기 수요 이끌까[앵커멘트]스마트폰은 보통 21대 9의 화면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이 가장 익숙한데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접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화면비율에 적합한 게임들이 나오면서 젊은 게임유저들을 중심으로 폴더블,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한 학생들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화면이 두 개 달린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각각 게임화면과 조작패드로 나눠 쓰면서 게임의 집중도를 더 높였습니2019-07-23 09:08:31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