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KT-르노삼성차, AI 기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이지링크’ 출시
2019-07-22김태환 기자
KT가 르노삼성자동차와 기가지니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 ‘이지링크(EASY LINK)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이지링크는 르노삼성의 신규 차종 ‘THE NEW QM6’에 적용되며, 양사는 고객 편의 강화를 위한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지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지링크는 KT의 인공지능(AI) 서비스 기가지니를 탑재해 음성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지니야, 신나는 음악 틀어줘’, ‘지니야, 뉴스 들려줘’와 같이 간단한 명령어로 다양한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이 없어도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서 원내비, 지니뮤직과 같은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다.
이지링크는 ▲내비게이션 ▲뮤직 서비스 ▲팟캐스트(팟빵) ▲실시간 음성뉴스 ▲날씨/미세먼지 정보 ▲위키피디아 검색 ▲영단어 번역 ▲차량 매뉴얼 안내와 같은 11가지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모든 기능이 음성명령으로 제어 가능해 주행 중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이미 차량을 구입한 고객들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최강림 KT 커넥티드카 비즈센터장은 “이지링크 출시를 시작으로 르노삼성자동차와 함께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협력 서비스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며 “KT는 다가올 5G 자율주행 시대에 걸맞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고도화로 고객 가치를 실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이효성 "방송·통신 업무, 두 부처 분담은 어불성설"… 과기정통부-방통위 역무분담 '불씨' 될까[앵커멘트]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함께 관할하던 통신 ·방송 정책을 한 부처가 맡아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논의를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통신· 방송정책을 두 부처가 나눠서 맡게 된 것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며 미래부를 신설하면서 부터입니다. 미래부의 후신 과기정통부가 통신 사전 규제를, 방통위는 사후 규제를 맡고 있습니다.방송정책도 유료방송은 과기정통부가 맡고, 지상파와 종편, 보도채널은 방통위가 관할합니다.이같은 이원화 구도를 깨고2019-07-24 09:00:30서정근 기자
-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r2019-07-24 08:55:45김예람 기자
-
'접고 붙이는 화면으로 게임을?'…폴더블·듀얼 스크린 초기 수요 이끌까[앵커멘트]스마트폰은 보통 21대 9의 화면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이 가장 익숙한데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접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화면비율에 적합한 게임들이 나오면서 젊은 게임유저들을 중심으로 폴더블,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한 학생들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화면이 두 개 달린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각각 게임화면과 조작패드로 나눠 쓰면서 게임의 집중도를 더 높였습니2019-07-23 09:08:31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