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화학물질 인허가 기간 단축·주52시간 적용 유예까지…소재부품 국산화 앞당긴다
일본 수출규제 대응 관계 장관회의 열려…소재 부품 국산화 속도 높이는 조치 마련
[앵커멘트]
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특단의 R&D 지원책을 내놨습니다. 화학물질에 대한 인허가 기간을 단축하고, 주 52시간 근무제 역시 특별 연장근로를 인정하는 식으로 보다 유연하게 적용하겠다는 방침인데요. 이를 통해 소재 부품 국산화를 최대한 앞당기겠다는 목표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조은아 기자.
[기사내용]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오늘 '일본 수출규제 대응 관계 장관회의'를 열고, 소재 부품 국산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임시적이고 한시적인 조치를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크게 규제 해소와 금융 지원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먼저 정부가 제품 개발에 필요한 R&D 등 꼭 필요한 부분에 한해 화학물질 인허가 기간을 단축합니다.
환경부, 고용부 등 여러 부처를 거쳐야하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줄인‘'패스트트랙(신속처리) 제도'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산업부에서 일본 수출규제 품목 관련 업체로 확인된 기업의 경우, 주 52시간 근무제도를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합니다.
시간 싸움을 벌여야 하는 R&D 현장 특성을 감안해 신속한 실증테스트가 필요하다면 특별연장근로를 인정해주겠다는 겁니다.
연구개발 인력의 재량근로제가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이달(7월) 말 관련 지침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조속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핵심 연구개발과제는 예비타당성 조사도 면제합니다.
금융 지원도 강화합니다.
정책금융기관 등을 통해 피해 우려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접수하고, 필요한 금융지원 방안을 마련합니다.
고순도 불화수소 제조기술과 같은 핵심 소재 부품 장비 관련 기술 개발 기업에겐 신성장 R&D 비용 세액공제도 지원합니다.
기업들은 정부의 이번 조치를 통해 소재 부품 기술 국산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 도입이 될 때까지는 진척 상황을 지켜봐야겠지만 기업들이 요청했던 내용들이 어느 정도 반영된 것 같다"며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씩 걸렸던 제품 개발 시간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기업들은 특별연장근로 인정과 화학물질 인허가 기간 단축에 대한 기대가 큰 분위기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조은아입니다.
조은아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이효성 "방송·통신 업무, 두 부처 분담은 어불성설"… 과기정통부-방통위 역무분담 '불씨' 될까[앵커멘트]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함께 관할하던 통신 ·방송 정책을 한 부처가 맡아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논의를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통신· 방송정책을 두 부처가 나눠서 맡게 된 것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며 미래부를 신설하면서 부터입니다. 미래부의 후신 과기정통부가 통신 사전 규제를, 방통위는 사후 규제를 맡고 있습니다.방송정책도 유료방송은 과기정통부가 맡고, 지상파와 종편, 보도채널은 방통위가 관할합니다.이같은 이원화 구도를 깨고2019-07-24 09:00:30서정근 기자
-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r2019-07-24 08:55:45김예람 기자
-
'접고 붙이는 화면으로 게임을?'…폴더블·듀얼 스크린 초기 수요 이끌까[앵커멘트]스마트폰은 보통 21대 9의 화면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이 가장 익숙한데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접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화면비율에 적합한 게임들이 나오면서 젊은 게임유저들을 중심으로 폴더블,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한 학생들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화면이 두 개 달린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각각 게임화면과 조작패드로 나눠 쓰면서 게임의 집중도를 더 높였습니2019-07-23 09:08:31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