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단독] 넥슨 신규 개발 '7대장' 이탈 가시화...회사 떠나 독립
반승철 대표 이어 김희재 대표도 퇴사 결정
넥슨의 신규 개발 조직을 이끄는 독립 스튜디오 대표들 중 일부가 회사를 떠났다. 이들은 개인적인 선택으로 독립을 결정했는데, 회사 매각 추진이 장기화하면서 발생한 '후유증'도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온다.
넥슨의 신규 개발 조직은 이정헌 대표가 부임한 후 조직 자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7개 스튜디오 체제로 편성된 바 있다. 넥슨은 후임 스튜디오 대표 인선에 나서고 있다.
19일 넥슨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반승철 불리언게임즈 대표가 회사를 떠난 데 이어 김희재 원스튜디오 대표도 퇴사를 확정했다.
반승철 대표는 불리언게임즈를 설립, '다크어벤저', '다크어벤저2'를 개발해 게임빌을 통해 서비스해 흥행시킨 이력이 있다. 2015년 4월 불리언게임즈를 넥슨에 매각했다. 넥슨에 합류한 후 '다크어벤저3'를 개발해 흥행에 성공했다.
김희재 대표는 네오위즈 재직 중 '피파온라인' 시리즈 개발 실무총괄역을 맡았다. 이 게임의 흥행으로 입지를 쌓은 개발자다. 넥슨에 합류한 후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의 개발을 총괄했다. 넥슨이 신규 개발 조직을 7개 독립 스튜디오 체제로 분할하는 과정에서 신설 된 원스튜디오를 맡았다.
두 사람은 김동건(데브캣스튜디오), 이은석(왓스튜디오), 정상원 (띵소프트), 김명현(넥슨지티),
김대훤(넥슨레드) 등 스튜디오 대표들과 함께 넥슨 신규 개발 '7대장'으로 꼽혀왔다. 각 스튜디오 대표들은 이전에 큰 성과를 냈고, 각자 개성도 강한 것으로 평가받아 왔다. 각 스튜디오에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해 향후 성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컸다.
스튜디오 체제는 이정헌 대표 취임 후 개발조직 재편의 '하이라이트'로 꼽히기도 했는데, 이들의 핵심 신작 중 '듀랑고' 외에는 개발이 장기화하며 아직 시장에 선보이지 못했다.
관련한 소식통은 "반승철 대표는 회사 매각 후 일정 기간 회사에 남아야 하는 계약 기간이 종료된 후 거취를 자유롭게 결정한 케이스"라며 "신규 법인 설립 준비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김희재 대표의 경우는 당초 예상보다 비대해진 스튜디오의 방향성과 자신의 스타일에 대한 이견 등으로 퇴사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넥슨 측은 "강대현 넥슨코리아 부사장이 불리언게임즈 대표직을 겸직하기로 결정이 됐고 원스튜디오는 아직 후임 대표 인선이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강대현 부사장은 넥슨코리아의 라이브 게임 총괄역을 오래동안 맡아온 이다. 넥슨코리아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넥슨 인텔리전스 랩을 총괄하고 있다.
불리언게임즈는 '다크어벤저' 단일 프로젝트만 수행하고 있어, 인력 규모가 50여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고 있어, 강대현 부사장 휘하에 편성된 후엔 사실상 라이브 개발 본부 중 하나로 편성된 것과 같은 상황이 됐다.
원스튜디오는 인력 규모가 150명에 육박하는 거대 스튜디오인 것으로 알려졌다. 불리언게임즈와 달리 신규 개발 프로젝트가 많은 탓에, 후임자 인선을 통해 별도의 독립 스튜디오 체제로 존속해야 할 상황이다.
서정근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이효성 "방송·통신 업무, 두 부처 분담은 어불성설"… 과기정통부-방통위 역무분담 '불씨' 될까[앵커멘트]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함께 관할하던 통신 ·방송 정책을 한 부처가 맡아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관련한 논의를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통신· 방송정책을 두 부처가 나눠서 맡게 된 것은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며 미래부를 신설하면서 부터입니다. 미래부의 후신 과기정통부가 통신 사전 규제를, 방통위는 사후 규제를 맡고 있습니다.방송정책도 유료방송은 과기정통부가 맡고, 지상파와 종편, 보도채널은 방통위가 관할합니다.이같은 이원화 구도를 깨고2019-07-24 09:00:30서정근 기자
-
[MTN현장+] '한국판 넷플릭스' 호언하던 SKT, 재무적 투자에 그치나“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협력해 국내 1위 OTT를 만들어서 넷플릭스와 선의의 경쟁을 할 것이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한 발언입니다. SK텔레콤은 SK텔레콤의 자사 OTT인 옥수수와 지상파의 푹이 연합할 예정이라고 지난 1월 발표했었죠. 당시 “아시아의 넷플릭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토종 OTT 대표주자로 푹과 옥수수 통합법인(웨이브)을 키우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하지만 반년이 지난 현재, SK텔레콤은 결국 ‘재무적 투자자&r2019-07-24 08:55:45김예람 기자
-
'접고 붙이는 화면으로 게임을?'…폴더블·듀얼 스크린 초기 수요 이끌까[앵커멘트]스마트폰은 보통 21대 9의 화면비율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이 가장 익숙한데요,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스마트폰 화면을 접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혁신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화면비율에 적합한 게임들이 나오면서 젊은 게임유저들을 중심으로 폴더블, 듀얼스크린 스마트폰의 초기 수요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고장석 기자입니다.[기사내용]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한 학생들이 화면에서 눈을 떼지 못합니다.화면이 두 개 달린 듀얼 스크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각각 게임화면과 조작패드로 나눠 쓰면서 게임의 집중도를 더 높였습니2019-07-23 09:08:31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