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자율주행 시대는 제조사만의 전유물 아니다?…車부품사들도 글로벌 기업들과 '합종연횡'
앵커>
자율주행차 시대는 자동차 회사는 물론 부품 회사에게도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내 부품사들도 자율주행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해외 파트너를 찾아 나섰는데요.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인프라 구축, 플랫폼 개발까지 글로벌 협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승객을 태운 셔틀버스가 운전자 없이 주행을 합니다.
좁은 골목을 인식해 스스로 충돌 없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갑니다.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버스 상용화에 성공한 프랑스 기업 나브야의 자율주행 셔틀버스입니다.
글로벌 자율주행 기업 나브야가 국내 자동차 부품사인 에스모와 손을 잡고 자율주행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인터뷰]에띠엔 에흐밋 나브야 CEO
나브야의 연구진은 (에스모와)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이 시스템은 차량과 셔틀, 택시는 물론 트랙에도 내장이 가능합니다.
에스모는 자율주행 서비스 플랫폼을, 나브야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 맡게 되는데, 2020년이 되면 국내 조립 라인에서 만들어진 자율주행 셔틀버스 100대가 국내 도심을 달리게 됩니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기업인 나브야가 동북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는 첫 사례.
자율주행 기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인프라가 두 기업의 협력을 이끌어냈습니다.
[인터뷰]김정훈 에스모 대표
한국은 5G라든지 통신과 관련된 전 세계 최고의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가진 통신 인프라와 북미와 유럽에서 갖고 있는 혁신적인 자율주행 기술을 도입한다면 한국 내에서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카메라 모듈 전문업체 에이치엔티도 프랑스 자율주행 전문기업 발레오의 CEO를 영입하며 자율주행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글로벌 전문가의 사업 경험과 초소형 카메라 모듈로 성공을 거둔 에이치엔티의 기술력은 카메라 수요가 높은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에이치엔티는 글로벌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첫 시작으로 미국에 AI 전문기업인 팬옵틱스인더스트리를 설립했습니다.
2035년까지 예상되는 글로벌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의 규모는 1300조원.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 세계 자동차 회사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부품사들도 글로벌 협력에 나서며 새로운 길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김승교입니다.
김승교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자율주행 시대는 제조사만의 전유물 아니다?…車부품사들도 글로벌 기업들과 '합종연횡'앵커>자율주행차 시대는 자동차 회사는 물론 부품 회사에게도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내 부품사들도 자율주행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해외 파트너를 찾아 나섰는데요.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인프라 구축, 플랫폼 개발까지 글로벌 협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승객을 태운 셔틀버스가 운전자 없이 주행을 합니다.좁은 골목을 인식해 스스로 충돌 없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갑니다.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버스 상용화에 성공한 프랑스 기업 나브야의 자율주행 셔틀버스입니다.2019-07-25 09:11:38김승교 기자
-
"중소 알뜰폰업체 다 죽는다"…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될까[앵커멘트]알뜰폰 업체들이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에 대해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통 자회사의 영향력이 커지는데다 알뜰폰 중소업체들의 고객 이탈도 심화될 것이라는 게 그 이유인데요. 양사간 합병 심사를 진행 중인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알뜰폰 업계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와 관련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알뜰폰 업계 1위인 CJ헬로의 가입자 수는 약 80만명 수준. 45만명의 고객을 가지고 있는 LG유플러스 알뜰폰과 합칠2019-07-25 08:58:51이명재 기자
-
[뉴스후] 불화수소 국산화로 엿본 脫 일본화 가능성…반도체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국산화 전략 필수앵커>일본의 수출규제가 더욱 확대될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 일단 1차 규제대상으로 삼은 3개 품목중에서 불화 수소 문제는 해법을 찾는 모양샙니다. 소재 부품 등에서의 일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정작 업체들은 보다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합니다. 고장석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고 기자, 액체 불화수소는 국산화가 거의 진행됐다는 단독보도를 했는데 상당히 반가운 소식입니다. 일단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다시 한번 설명해주시죠.기자>불화수소는 크게 반도체를 깎는 데 사용되2019-07-25 08:53:52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