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TN단독] 일본 아니면 안된다던 식각용 '액체 불화수소', 한국 기업이 독자적으로 해결
반도체 소재업체 솔브레인, 9월 말 액체 불화수소 정제공장 증설 마무리
[앵커멘트]
일본의 몽니로 공급 부족 사태를 맞았던 불화수소 문제를 국내 한 기업이 독자적으로 해결했습니다. 반도체 소재업체인 솔브레인이 증설해온 정제공장이 두 달뒤면 가동되는데 이곳의 생산분만으로 일본산 액체 불화수소를 대체할 수 있게 됩니다. 고장석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사내용]
국내 반도체 소재기업인 솔브레인은 지난 4월부터 충남 공주에 있는 불화수소 정제공장 증설작업을 해왔고 두 달뒤인 9월말이면 본격 가동에 들어갑니다.
솔브레인은 그동안 초미세반도체 공정에 들어가는 액체불화수소를 직접 생산하면서 일부를 일본산으로 수입해 왔습니다.
하지만 공장가동이 시작되면 국내 생산분만으로 일본산을 대체할 수 있게 됩니다.
솔브레인 측은 공장이 가동되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생산에 충분한 양의 고순도 액체 불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불화수소는 반도체를 깎아내는 데 사용하는 '액체 불화수소(에천트)'와 세척에 쓰이는 '기체 불화수소(에칭가스)'로 나뉘는데, 일본 의존도가 높았던 대표적 품목들입니다.
솔브레인의 정제 공장은 중국에서 들여온 원재료를 정제해 액체 불화수소를 만들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특히 솔브레인은 자체생산한 고순도 액체불화수소를 이미 삼성과 SK하이닉스에 공급해오고 있어 품질 수준은 확보한 셈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주지 않지만 일본산 액체 불화수소를 국산으로 대체하는 테스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동안 반도체 제조사들은 일본의 스텔라케미파와 모리타화학의 액체 불화수소를 주로 사용하고 일부 공정에만 국산 제품을 사용해 왔습니다.
국산 제품은 품질이 뛰어나더라도 생산량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녔는데 솔브레인의 공장증설로 제조사들이 필요한 수요 대부분을 충당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다만 액체불화수소에 비해 사용량이 적은 기체 불화수소의 경우엔 당장 대체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기체 불화수소를 만들 수 있는 국내 기술력은 충분하지만 시장 규모가 수백억원 수준으로 작아 아직 시도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반도체 소재부품의 국산화가 갈길은 멀지만 정부가 국가 전략산업으로 집중 지원하고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업체들이 손을 잡는다면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솔브레인이 보여준 것으로 평가됩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자율주행 시대는 제조사만의 전유물 아니다?…車부품사들도 글로벌 기업들과 '합종연횡'앵커>자율주행차 시대는 자동차 회사는 물론 부품 회사에게도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내 부품사들도 자율주행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해외 파트너를 찾아 나섰는데요.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인프라 구축, 플랫폼 개발까지 글로벌 협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승객을 태운 셔틀버스가 운전자 없이 주행을 합니다.좁은 골목을 인식해 스스로 충돌 없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갑니다.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버스 상용화에 성공한 프랑스 기업 나브야의 자율주행 셔틀버스입니다.2019-07-25 09:11:38김승교 기자
-
"중소 알뜰폰업체 다 죽는다"…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될까[앵커멘트]알뜰폰 업체들이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에 대해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통 자회사의 영향력이 커지는데다 알뜰폰 중소업체들의 고객 이탈도 심화될 것이라는 게 그 이유인데요. 양사간 합병 심사를 진행 중인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알뜰폰 업계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와 관련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알뜰폰 업계 1위인 CJ헬로의 가입자 수는 약 80만명 수준. 45만명의 고객을 가지고 있는 LG유플러스 알뜰폰과 합칠2019-07-25 08:58:51이명재 기자
-
[뉴스후] 불화수소 국산화로 엿본 脫 일본화 가능성…반도체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국산화 전략 필수앵커>일본의 수출규제가 더욱 확대될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 일단 1차 규제대상으로 삼은 3개 품목중에서 불화 수소 문제는 해법을 찾는 모양샙니다. 소재 부품 등에서의 일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정작 업체들은 보다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합니다. 고장석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고 기자, 액체 불화수소는 국산화가 거의 진행됐다는 단독보도를 했는데 상당히 반가운 소식입니다. 일단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다시 한번 설명해주시죠.기자>불화수소는 크게 반도체를 깎는 데 사용되2019-07-25 08:53:52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