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2019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9.6% 감소 전망
가트너 ‘전세계 반도체 전망 데이터베이스’ 올해 2분기 동향 업데이트
올해 전세계 반도체 매출이 9.6% 감소한 4290억달러(약 505조7000억원)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스마트폰과 서버, PC와 같은 디바이스 성장 둔화와 더불어 미중 무역 분쟁과 같은 환경 악화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23일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19년 전세계 반도체 매출은 2018년 4750억달러(약 560조원)에서 9.6% 감소한 4290억달러(약 505조700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3.4% 하락을 예상했던 지난 분기 전망보다 하향 조정된 수치다.
벤 리 가트너 수석연구원은 “메모리를 비롯한 일부 칩 유형의 가격결정 환경 약화와 더불어 미중 무역 분쟁과 스마트폰, 서버, PC 등 주요 애플리케이션의 성장 둔화가 맞물렸다”면서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D램 시장의 수요 주도적 공급 과잉으로 인해 2019년 반도체 가격은 42.1% 하락하고 공급 과잉 현상은 2020년 2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초대형(하이퍼스케일) 업체들의 수요 회복이 더디고 D램 업체들의 재고량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중국의 지속적인 분쟁은 교역률에 대한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 기업에 가한 규제는 보안 우려에 따른 것으로, 반도체 공급 및 수요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는 중국의 반도체 자체 생산을 가속화하고, Arm 프로세서와 같은 기술의 현지 버전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일부 제조업체들은 분쟁 중에 중국 외 국가로 부지를 이전할 것이고, 다수의 기업들이 추후 혼란을 줄이기 위해 제조 기반을 다변화하려 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낸드 시장은 2018년 1분기부터 공급 과잉 상태에 빠졌고, 현재 낸드에 대한 단기 수요가 예상보다 낮아 이러한 현상은 더욱 확연해지고 있다.
벤 리 수석연구원은 “높은 스마트폰 재고량과 부진한 반도체 어레이 수요는 앞으로 몇 분기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낸드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2020년에는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PC, 스마트폰 등의 수요 동력은 둔화되는 반면 중국의 새로운 팹으로 공급 역량은 높아지면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므로 2020년 이후는 우려가 커진다”고 말했다.
김태환 테크엠 기자 kimthin@techm.kr
-
'자율주행 시대는 제조사만의 전유물 아니다?…車부품사들도 글로벌 기업들과 '합종연횡'앵커>자율주행차 시대는 자동차 회사는 물론 부품 회사에게도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내 부품사들도 자율주행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해외 파트너를 찾아 나섰는데요. 자율주행 기술은 물론 인프라 구축, 플랫폼 개발까지 글로벌 협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승객을 태운 셔틀버스가 운전자 없이 주행을 합니다.좁은 골목을 인식해 스스로 충돌 없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갑니다.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셔틀버스 상용화에 성공한 프랑스 기업 나브야의 자율주행 셔틀버스입니다.2019-07-25 09:11:38김승교 기자
-
"중소 알뜰폰업체 다 죽는다"… 'CJ헬로 알뜰폰' 분리매각될까[앵커멘트]알뜰폰 업체들이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에 대해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통 자회사의 영향력이 커지는데다 알뜰폰 중소업체들의 고객 이탈도 심화될 것이라는 게 그 이유인데요. 양사간 합병 심사를 진행 중인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명재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사내용]알뜰폰 업계가 LG유플러스의 CJ헬로 알뜰폰 사업 인수와 관련해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알뜰폰 업계 1위인 CJ헬로의 가입자 수는 약 80만명 수준. 45만명의 고객을 가지고 있는 LG유플러스 알뜰폰과 합칠2019-07-25 08:58:51이명재 기자
-
[뉴스후] 불화수소 국산화로 엿본 脫 일본화 가능성…반도체 패러다임 변화에 대비한 국산화 전략 필수앵커>일본의 수출규제가 더욱 확대될 위기를 맞고 있는데요. 일단 1차 규제대상으로 삼은 3개 품목중에서 불화 수소 문제는 해법을 찾는 모양샙니다. 소재 부품 등에서의 일본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정작 업체들은 보다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합니다. 고장석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고 기자, 액체 불화수소는 국산화가 거의 진행됐다는 단독보도를 했는데 상당히 반가운 소식입니다. 일단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다시 한번 설명해주시죠.기자>불화수소는 크게 반도체를 깎는 데 사용되2019-07-25 08:53:52고장석 기자